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 문화 논쟁(The Two Cultures debate)과 과학전쟁(The Science Wars): 인문학과 자연학 간의 갈등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

이용수 337

영문명
The Two Cultures debate and The Science Wars: the analysis on the conflict between human studies and natur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원리학회
저자명
김신애(Sin-eae Kim)
간행물 정보
『교육원리연구』제23권 제1호, 49~6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자연학자들(nature studiers)과 인문학자들(human studiers) 간의 지적인 충돌이라 고 할 수 있는 1960년대의 <두 문화 논쟁(The Two Cultures debate)>과 1990년대의 <과학전쟁 (The Science Wars)>을 교육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전제로서, ‘종적으로 상대적인 (vertically relative)’ 경험들 간의 갈등은 교육활동을 통하여 해소될 여지가 있다는 교육본위 론적 가정을 활용하였다. 1960년대의 <두 문화 논쟁>에서는 갈등의 양상을 보인 견해들 사이 에 종적상대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논자들이 분야를 막론하고 견지했던 전제였다고 볼 수 있 는데, 1990년대의 <과학전쟁>에서는 갈등하는 견해들 사이의 종적상대성 자체가 더 이상 분 명하지 않게 된 측면이 있다. 종적상대성의 인식 여부와 정도에 따라 논자들이 보인 서로에 대한 교육의 양태 또는 입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서로 다른 견해들 간의 종적상대성을 믿는 편에서는 대개 상대편의 무지에 대해 강하게 비난하거나 강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종적상대 성보다는 횡적다양성에 더 무게를 두는 편에서는 다른 한 편을 설득하는 데에 미온적인 태도 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논쟁 중 특히 <과학전쟁>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본위론의 이 론적 전제에도 의문점을 제시한다. 학문적 견해들 간의 종적상대성이 자연학과 인문학에 보편 적인 양상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가.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wo well-known intellectual conflicts between nature studiers and human studiers: the ‘Two Cultures debate’ in the 1960s and the ‘The Science Wars’ covering the 1990s. The theoretical framework adopted for the analysis is the Educational Epistemology, propounded by the Korean scholar Sang-ho Chang, having yet to be known widely in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but, as the article shows, could be highly relevant to the analysis of the two debates. The Educational Epistemology proposes that some epistemological conflicts can bring education into play and, conversely, education could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them as well. According to the theory, the opinions of ‘vertical relativity’ could be resolved with educational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e article looks out for ‘vertically relative’ opinions in the two debates, while it tries to capture the type of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s that have educational potential. In the Two Cultures debate of the 1960s, the perception of ‘vertical relativity’ is plainly expressed among leading polemics, though it does not lead much to 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 Science Wars of the 1990s, ‘vertical relativity’ itself is put into controversy. In comparing the opinions from each side, nature studiers tended to take the difference to be ‘vertical’, whereas human studiers tended to consider it ‘horizontal’. The difference in such judgments seems to have incurred irresolvable conflicts between the two groups. Both sides fail to invite others to educational cooperation as well: those who believe in ‘vertical relativity’ maintain a coercive manner, heavily charging the others for ignorance. Those who believe in diversity of opinions (‘horizontal relativity’) are meager in inviting others to educational interactions. The article also questions the universality of ‘vertical relativity’ across nature studies and human studies. ‘Vertical relativity’ seems to apply to intellectuals from both knowledge fields in the 1960s’ Two Cultures debate, but it does not seem to reflect the academic standards of human studies in the 1990s or the newly emerging interdisciplinary areas.

목차

Ⅰ. <두 문화 논쟁(The Two Cultures debate)>과 <과학전쟁(The Science Wars)>
Ⅱ. 맥락의 확보: 두 논쟁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Ⅲ. 자연학자(nature studiers)와 인문학자(human studiers) 간의 논쟁에서 ‘종적상대성’의 문제와 교육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신애(Sin-eae Kim). (2018).두 문화 논쟁(The Two Cultures debate)과 과학전쟁(The Science Wars): 인문학과 자연학 간의 갈등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3 (1), 49-68

MLA

김신애(Sin-eae Kim). "두 문화 논쟁(The Two Cultures debate)과 과학전쟁(The Science Wars): 인문학과 자연학 간의 갈등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3.1(2018): 4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