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의 내적 논리에 비추어 본 정보기술기반 맞춤형 학습지원시스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시론

이용수 37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원리학회
저자명
김신애(Sin-eae Kim)
간행물 정보
『교육원리연구』제23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교육본위론의 상구교육과 하화교육의 내재율 및 체험요소에 비추어 정보기술기 반 학습지원시스템의 일종인 AIWBES(Adaptive and Intelligent Web-based Educational System)의 특 징이 인간의 교육적 삶에 갖는 영향 및 의미를 가능성과 한계라는 측면에서 타진해 본 것이 다. 정보기술기반의 학습지원시스템은, 하화교육의 요소 중 이타, 원조, 존우, 역차의 측면에서 는 때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탁월한 하화적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 간이 타인의 경험 속에 유사한 경험과 판단을 재창조한 결과로 자기 자신의 경험 계열의 가 치를 재확인해 나가는 보수와 타증의 측면에서는 인간 대 인간의 교육에서보다 역동성이 떨 어질 수 있다. 또한, 상구교육의 체험을 풍성하게 해 주는 기반이 될 수 있는 상구자의 소재 계상의 결핍을 소위 ‘맞춤형’ 서비스로 정보기술기반 학습지원시스템이 지나치게 효율적으로 만족시켜 줄 경우에, 상구교육의 과정에서 요청되는 새로운 경험의 탐색, 혼동에의 긍정, 좌절 과 방황 같은 인간적인 체험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퇴보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끝으로 본 논문은 ‘하이터치 하이테크 학습(High-Touch High-Tech Learning)’의 변증법 속에서 인간이 새로운 물질적, 기술적 기반을 토대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탐색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intends to take a dispassionate look through the potentia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ystems such as AIWBES(Adaptive and Intelligent Web-based Educational System) in the era of precipitated worries over the replacement of human work by artificial intelligent. Adopting the perspective of an educational theory that tries to show the principles of education in its structural totality, the article examines what the AIWBES could do and could not in comparison with human practice. Classic AIWBESes such as ELM-ART are designed for curriculum sequencing that enables software to trace and satisfy the educational needs on the side of ascending-educator, intelligent solution analysis, and problem-solving support. These functions in the software may meet some aspects of what humans usually do in the descending-educational context, for example, foolishness-respecting, regressive order taking in the arrangement of experience for others, while they could have wide range of limitations on the experiential and existential side of human education. The lack of human touch in the partially excellent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machine may prevent the ascending-educator from experiencing very humane process of ascending-education, i.e. contacting chaos and bewilderment in experimental search of newer self. The article suggests in the end to explore the dialectics of High-touch High-tech Learning discourse to further the intended refl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정보기술기반 학습지원시스템의 사례와 논리
Ⅲ. 교육의 내적 논리에 비추어 본 정보기술기반 학습지원시스템의 가능성과 한계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신애(Sin-eae Kim). (2018).교육의 내적 논리에 비추어 본 정보기술기반 맞춤형 학습지원시스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시론. 교육원리연구, 23 (1), 1-21

MLA

김신애(Sin-eae Kim). "교육의 내적 논리에 비추어 본 정보기술기반 맞춤형 학습지원시스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시론." 교육원리연구, 23.1(2018):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