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activator 유형에 따른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

영문명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different activator types in Angle´s Class II div.1 malocclusion patient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김덕상(Duk-Snag Kim) 이진우(Jin-Woo Lee) 차경석(Kyung-Suk Cha)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3호, 431~44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Activator는 성장기 아동에서 치성 및 악골 부조화를 개선하기 위해 성장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악기능 장치중 대표적인 것으로 1930년대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사용여부, 작용방법, 효과에 영향을 주어 골격적 관계를 변화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에는 많은 논랜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장치가 성장중이고 협조적인 환자에서 2급 관계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부분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악골의 후방 변위를 보이는 Angle씨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tivator를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하악골의 수평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horizontal type activator와 수평적 성장과 함께 수직적 성장도 유도하기 위한 vertical type activator로 분류하여 사용한 결과 나타나는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고, 각 군내의 남여군간에 치료 효과나 성장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하악의 전방위치와 LAFH, AFH등 안면 전방부의 수직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2.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남자군에서는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를 동반한 상악의 후방위치가 관찰되었으며, 여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하악전치의 순측 경사와 하안면 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3.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전안면고경, 전하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후하안면고경의 증가와 함께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가 두드러졌다. 4.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남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여자군에서는 전안면 고경의 증가만 주로 관찰되었다. 5. horizontal type activator와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들의 치료 전후 비교시 치료전에는 골격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치료후에는 치성관계에서만 차이를 나타내어 서로 다른 activator의 사용이 주로 치성 성분에 대한 효과에만 차이를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 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Ⅲ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s the treatment effects of Horizontal and Vertical type activators in Angle´s Class II div. 1 maloccusion patients with mandibular retrusion dan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t treatment effects or growth pattern were observed between sexes in each study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orizontal activator group, forward positioning of mandible and vertical increase in anteror face as examplified by increase of LAFH and AFH were observed when pre and post-treatment datas were evaluated. 2. Males samples in Horizont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mandiular length accmpanied by posterior positioning of maxilla, wheras female samples in Horizont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mandibular body length,labial inclination of mandibular incisors and increase in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 3. In vertical activator group, increase in AFH, LAFH, PFH and LPFH were observed when pre and post treatment datas were a aluated. 4. Male samples in Vertical activator group showed increase in mandibular body length and anterior and posterior facial heights, whereas females samples of Vertical activator group showed mainly increase in anterior facial height 5. When pre and post treatment datas of Horizontal and Vertical activator groups were compared, skeletal difference were mainly observed in eatrnnt datas but dental difference were observed in post treatment datas ,indicating that two actiators differ only in their effects to dental variables. 6. Difference between sexes were noted after treatment although no difference were observed between sexs in each groups before treatment This indicates that inherent growth effects in each sex exerts more influence than appliances used for treat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덕상(Duk-Snag Kim),이진우(Jin-Woo Lee),차경석(Kyung-Suk Cha). (1997).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activator 유형에 따른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3), 431-444

MLA

김덕상(Duk-Snag Kim),이진우(Jin-Woo Lee),차경석(Kyung-Suk Cha).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activator 유형에 따른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3(1997): 431-4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