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BOND STRENGTH OF RECYCLED BRACKET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서정훈(Cheong-Hoon Shur) 최은아(Eun-Ah Choi)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8권 제4호, 641~65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e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o-etched)의 순이었다. 2.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y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하한 결과를 보였고(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지거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데(p<0.05), 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site of new and recycled brackets according to the base design. 252 sound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collected, and Type I, Type II, Type III bracke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recycling method. Each bracket was then bonded to an extracted premolar.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 was used to measur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surface of the recycled brackets were viewed in SEM.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ne 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executed using the SPSSWIN program. 1. The shear bond str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racket base design(P<0.001). Type III bracket(round indentation base, micro-etched)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Type I bracket(foil-mesh base) was second, and Type II bracket(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 was last. 2. The effect of recycling on the bond streng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bracket typ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ype I, Type II brackets showed the smallist reduction when treated for 1 minute in Big Jane(p<0.05), but the shear bond strength of Type III bracke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cycling method(p>0.05). 3. In Type I, Type II brackets, frequent fracture site was bracket-resin interface, but in Type III brackets, about half of the resin was retained on the tooth surface frequently. 4. The shear bond strength was highest when about half of the resin was retained on the tooth surface(p<0.05). 5. The resin remnant on the bracket base after recycling had no effect on the shear bond strength.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훈(Cheong-Hoon Shur),최은아(Eun-Ah Choi). (1998).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8 (4), 641-657

MLA

서정훈(Cheong-Hoon Shur),최은아(Eun-Ah Choi). "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8.4(1998): 641-6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