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EMG AND CEPHALOMETRIC STUDY ON CHANGES IN UPPER AIRWAY STRUCTURES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AND BODY POSTURE IN OSA PARIENT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박영철(Young-Chel Park) 배웅권(Eung-Kwon Pae) 이정권(Jeung-Gweon Lee) 이종석(Jong-Suk Lee) 김태관(Tae-Kwan Kim)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8권 제4호, 547~56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08.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로 표시)은 수면 도중 계속 반복 되어 일어나는 상기도 폐쇄로 인하여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장애(disorder)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도 구조의 해부학적 요인뿐 아니라 생리적 요인도 무호흡 발생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설근이 상기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OSA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하악 재위치 장치를 통한 치료 역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에 따른 구조적 생리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OSA 환자 26명(남 17명, 여 9명)과 일반 정상 성인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앙와위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장치에 따른 상기도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고 두군 사이의 장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OSA환자 14명(남 10명, 여4명)을 대상으로 체위 변화와 장치 장착에 따른 이설근 근전도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기도 구조에 대한 두부계측학적 측정치 중 연구개의 길이, 연구래 최대 두께와 SPAS, MAS, VNL, H-H1, MP-H에서 정상군과 OSA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IAS와 EAS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군과 OSA군 모두에서 장치 장착에 따라 후두개가 전방 이동하면서 후두개 수준(epoglottis level)의 기도 폭경은 증가하였고 연구개의 최대 두께가 변하였으며 설골은 전방 이동하였으나 두 군 모두 IAS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장치 장착에 따른 상기도 구조에 대한 효과는 두 군 사이에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양와위에서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직립위와 앙와위 모두에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였다. 하악 재위치 장치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상기도 생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치에 대한 반응은 정상군과 OSA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군은 상기도 생리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repetitive episode of upper airway collapse during sleep. Recent studies showed that not only the anatomic factors but the physiologic factors of the upper airway also have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apnea and that the genioglossus muscl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the upper airway. A variety of therapies were performed to treat OSA, and among them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showed reasonable result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 upon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The author selected 26(male 17, female 9) OSA patients that came to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20 normal adults (male 10, female 10) and took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them in a supin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placement of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to se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upper airway and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We also studied the waking genioglossus muscle activity in OSA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electromyo ram of the genioglosssus muscle upon the change in body posture and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mong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e upper airway structure, the length´ of the soft palate, maximum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and SPAS, MAS, VAL, H-H1, MP-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and OSA groups, but the lAS and EA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2. In both the normal and OSA groups, as the epiglottis moved forward on wearing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the epiglottis level of the upper airway increased and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changed and the hyoid bone also moved forward, but the lAS in both groups showed various results and the effect of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on the structure of the upper airway was different in the two groups. 3. Upon changing the positio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us muscle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hen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were wor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us muscle in both 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not only have an effect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upper airway but also on the physiology of the upper airway. There are different responses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between the normal and OSA groups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ed to have the different physiology of the upper airway between the two group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철(Young-Chel Park),배웅권(Eung-Kwon Pae),이정권(Jeung-Gweon Lee),이종석(Jong-Suk Lee),김태관(Tae-Kwan Kim). (1998).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8 (4), 547-561

MLA

박영철(Young-Chel Park),배웅권(Eung-Kwon Pae),이정권(Jeung-Gweon Lee),이종석(Jong-Suk Lee),김태관(Tae-Kwan Kim).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8.4(1998): 547-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