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미적 측모 판단에 미치는 성별과 문화의 영향력

이용수 5

영문명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determining esthetic facial profile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고수진(Su-Jin Ko) 김현순(Hyun-Soon Kim) 김영진(Young-Jin Kim)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1권 제3호, 301~30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정치료를 받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중요한 동기중의 하나가 미적 안모의 추구이기 때문에, 미적 안모를 평가하는 기준이 성별이나 환자가 속해있는 문화권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치료목표의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이나 문화가 매력적인 측모를 판단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평가 군으로 하여금 133명의 일반인 사진 중에서 좋은 측모를 가진 사람이 사진을 채점방식에 의해 선택하게 하였고, 좋은 측모군을 평가하는 경향이나 평가점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4평가 군 사이에 좋은 측모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Bonferroni´s multipe comparison과 randomozed block designed ANOVA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4개의 평가군은 한국에 거주하는 10명의 20대 남자군과 10명의 20대 여자군,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남자군, 그리고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여자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택된 좋은 안모군의 연조직 형태는 두부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사용하여 선계측, 각계측, 그리고 비율계측을 함으로써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심미적인 측모를 판별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적인 차이 여부를 통계적으로 입증한 결과,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이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통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동일한 문화권에 살고 있는 한국인에서, 성별의 차이는 심미적 측모의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다른 문화권에서 생활하는 같은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두 집단의 한국인간에 심미적 측모를 선택하는데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미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문화가 더 큰 변수임을 입증하고 있다. 4. 좋은 안모군과 좋지 않은 안모군에서의 연조직 분석에서 하안면부 수직고경의 비율, 안면돌출도 및 상하순의 전후방적 위치 관계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Because many of patients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worry about the facial appearance and their chief motiva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facial esthetic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the evaluation of profile esth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judging good facial profile. 4 different groups were asked to evaluate 133 facial profiles to test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judging good facial profiles. Those 4 groups consisted of 10 Korean males, 10 Korean females, 10 Korean American males, and 10 Korean American females. 2 evaluation systems were introduced, absolute and relative. Soft tissues of selected good profile group were analyzed and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ter-evaluator difference for judging good facial profi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if there was general agree ment for the best profile among 40 raters. 2. Gender difference under the same cultural environmen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3. The same ethnic group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reference on judging good profile. 4. Good facial profile group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remaining group in several soft tissue measurements which were vertical facial ratio, soft tissue facial convexity, and antero-posterior relative lip posi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수진(Su-Jin Ko),김현순(Hyun-Soon Kim),김영진(Young-Jin Kim). (2001).심미적 측모 판단에 미치는 성별과 문화의 영향력.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1 (3), 301-309

MLA

고수진(Su-Jin Ko),김현순(Hyun-Soon Kim),김영진(Young-Jin Kim). "심미적 측모 판단에 미치는 성별과 문화의 영향력."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1.3(2001): 301-3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