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ingual K-loop archwire를 이용한 발치공간 폐쇄시 초기응력 분포에 대한 3차원 광탄성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ree dimensional photoelastic study on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s of alveolar bone when retracted by lingual K-loop archwire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변보람(Bo-Ram Byun) 김성식(Sung-Sik Kim) 손우성(Woo-Sung Son)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2권 제5호, 343~35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 1소구치가 발치를 동반한 설측교정치료시 lingual K-loop archwire로 후방견인을 시행한 경우 전치부 및 구치부에서 치조골에 발생하는 초기응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K-loop의 vertical leg 길이는 15mm로 하고 편측당 350gm의 힘으로 활성화시킨 후 상악궁 광탄성 모형의 응역동결을 시행하고 각 치아별로 절단하여 3차원 광탄성법으로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절치의 근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으며 원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보였다. 순면에서는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으며 설면에서는 치근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보였다. 치근점에서는 압축응력이 나타났다. 2. 측절치의 근심면에서는 치관측만 인장을력이 관찰되었고 원심면에서는 고른 압축응력을 보였다. 순면에서는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이 관찰되었고 설면에서는 치관측에서는 인장응력을, 치근측에서는 압축응력을 보였다.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이 관찰되었다. 3. 견치의 근심면은 치관측에서는 인장응력을, 치근측에서는 압축응력을 보였고 원심면은 인장응력을 보였다. 순면과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순면보다 설면에서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이 관찰되었다. 4. 제2소구치는 근심면은 인장응력을 보이며 원심면은 치관츠겡서는 압축응력을, 치근측에서는 인장응력을 보였다. 협면은 치관측에서는 압축응력을 보였으며,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이 관찰되었다. 치근점에서는 인장응력을 보였다. 5. 제1대구치는 근원심면 모두에서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협면에서는 응력이 나타나지 않았고,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이 관찰되었다. 협측치근들의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을, 구개측치근의 치근첨에서는 무응력을 보였다. 6. 제2대구치는 모든 치근의 치근첨에서 압축응력이 관찰되었다. 근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원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협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나타내었다. 다라서 전치부 후방견인시 transverse bowing effect는 뚜렷이 나타났으나, vertical bowing effect는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전치부가 함입되려는 응력이 발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of alveolar bone in case of en masse retraction with lingual K-loop archwire using the 3-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followed by stress freezing process. Lingual K-loop archwire which had loop in 15mm height was used and activated by retraction force of 350gm per each s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entral incisor :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labial surfaces and the larger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dist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root apex, the larger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lingu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2. Lateral incisor :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the coronal side of mesi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dist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labial surface.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hal side and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apical side of lingu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3. Canine :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and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apical side of mesial surface.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dist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distal surfaces.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4. Second premolar :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mesial surface_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and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apical side of dist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of bucc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lingu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5. First molar :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distal surfaces. No stress was distributed at buccal surface and palatal root apex.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lingual surfaces.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buccal root apexes. 6. Second molar :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all root apexes.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lingual surfaces, and the larger tensile stress at both distal and buccal surfaces. Transverse bowing effect was observed in en-masse retraction with lingual K-loop archwire, however vertical bowing effect was not. Rather, reverse vertical bowing effect was develop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보람(Bo-Ram Byun),김성식(Sung-Sik Kim),손우성(Woo-Sung Son). (2002).Lingual K-loop archwire를 이용한 발치공간 폐쇄시 초기응력 분포에 대한 3차원 광탄성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2 (5), 343-353

MLA

변보람(Bo-Ram Byun),김성식(Sung-Sik Kim),손우성(Woo-Sung Son). "Lingual K-loop archwire를 이용한 발치공간 폐쇄시 초기응력 분포에 대한 3차원 광탄성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2.5(2002): 34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