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의 연조직측모 선호경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f esthetic facial profile preference in Korean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최준규(Jun-Gyu Choi) 이기수(Ki-Soo Lee)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2권 제5호, 327~34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조직 측모는 교정치료와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며, 안모 심미성에 대한 개념은 긴 역사를 가지고 변천하여 왔으며 지역이나 문화, 성별, 인종, 관습 등에 따라서 그 심미관이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들의 연조직측모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정환자들의 주 연령층인 사춘기성장가속기 전의 초등학생, 사춘기 연령의 학생, 20대의 대학생들과 보호자의 주연령층인 40-50대 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의 제작을 위해 기존의 심미적인 안면의 경, 연조직 형태에 과난 연구에서 얻은 연조직 평균계측치에 가까운 연조직 측모를 가진 20대 여성 한명을 선정한 후 측모천연색 사진을 촬영하여 표준측모로 사용하였다. 전체 설문지는 7set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set는 측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입술의 돌출도, 코, 이부의 높이와 Sn point를 표준측모에서 변화시킨 천연색 측모형들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안모는 1점, 가장 좋지 않다고 생각되는 안모를 5점의 순서로 통계처리를 하여 각 응답자군들의 연조직측모 선호도를 알아보았으며, 성별, 연령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중들이 선호하는 안모와 선호하지 않는 안모와 하안면 측모의 심미적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기준선들간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1. 응답자의 신뢰도를 평가시 유년기에서 다른 group들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유년기에서는 아직은 측모선호도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2. 측모 선호도의 연령, 성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장 선호하는 측모보다 가장 선호하지 않는 측모에 대한 선택의 일치도가 더 높았다. 4. 응답자의 group별로 순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Kendall의 일치계수(W)는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령에 비해 측모에 대한 선호성에 대한 기준이 명확한 것을 나타낸다. 5.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측모의 구순돌출도는 심미적인 안모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의 Rickett의 nose tip-Pog line(E-line), Burstone의 Sn-Pog line(B-line)에 대한 평균치이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이들 기준선들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6.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측모는 E-line과 B-line에 대해 구순이 너무 돌출되거나 후퇴된 경우였다. 7. 응답자들의 측모 선호도는 straight, concave, convex profile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Soft tissue profile is a critical area of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an orthodontic treatment and 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ial profile preference of diversified group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st preferred facial profile and existing soft tissue reference lines. A survey instrument of constructed facial silhouettes was evaluated by 894 lay person. The silhouettes had varied nose, lips, chin and soft tissue subnasale point. Seven sets of facial type were computer-generated by an orthodontist to represent distinct facial types. The varied facial profiles were graded on the basis of most preferred to least preferred. Every facial profile- were measured by soft tissue reference lines(Ricketts E-line, Burstone B-line) to observe the most preferred facial profile. The results as follows: 1. In reliability test, the childhood group showed lower value than other groups, which means that this group has no concern on facial profile preference. 2. It appears that sexual and age differenc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ecting the profile 3. An agreement to least preferred facial profile was higher than an agreement to most preferred facial profile. 4. Coefficient of concordance (Kendall W) was higher in the twentieth group. It means that a profile preference of the twentieth is distinct. 5. A lip protrusion (to Ricketts E-line and Burstone B-line) of most preferred facial profile was similar to measurements of previous study that investigate skeletal and soft tissue of esthetic facial profile of young Korean. So these reference lines can be used valuably in clinics. 6. Profile of excessive lip protrusion or retrusion to E-line & B-line was least preferred. 7. Most preferred profile of all respondents group was straight profile. Profile that showing convex profile was not preferred and the least preferred profile was concave profil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준규(Jun-Gyu Choi),이기수(Ki-Soo Lee). (2002).한국인의 연조직측모 선호경향에 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2 (5), 327-342

MLA

최준규(Jun-Gyu Choi),이기수(Ki-Soo Lee). "한국인의 연조직측모 선호경향에 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2.5(2002): 327-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