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골절단을 이용한 급속 치아이동 후 치수 및 치주조직 변화

이용수 7

영문명
Tissue changes of pulp and periodontium on rapid tooth movement with osteotomy in dog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강경화(Kyung-Hwa Kang) 김은철(Eun-Cheol Kim) 이선경(Sun-Kyung Lee) 임채웅(Chae-Woong Lim) 마쓰다 기꾸(Kiku Matduda)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34권 제2호, 131~14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골절단을 이용한 치아-치조공 분절의 급속 치아이동 후 치수,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변화를 유성견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악 제4소구치의 근심, 원심, 치근단 부위에서 피질골을 절단하여 치아-골 분절을 형성하고 하악 제3소구치를 발거하면서 협측, 설측 부위의 피질골을 삭제하였다. 1주 휴지기 부여에 따라 휴지기군과 비휴지기군으로 나누어 차아 의존형 견인장치로 6일 동안 견인하고 강화기를 거친 후 0주, 1주, 2주, 4주, 6주, 8주에 희생시켜 치수,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조직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적, 조직학적 및 면역화학적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이동 양과 강화기 동안의 조직 치유 양사에서 휴지기 유뮤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견인측에서 골형성은 강화기 8주까지 계속되었는데 강화기 1-2주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6-8주간의 변화는 적었다. 3. 비류지기군의 강화기 1주에서 치조골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았으며, 특징적으로 파상아세포가 압박측의 치주인대와 치수 내에 나타났다. 4. TGF-β는 치조골의 골기질 및 골모세포, 파골세포, 치수 내 파상아세포에서 강양성 발현을 보인 반면 치수, 백악모세포, 무세포성 백악질에서 경미한 양성 발현을 나타내는 부의 특이성이 있었다. 5. TCF-β는 견인측 치주인대의 치조골에 인접한 혈관 및 치주인대세포, 골모세포에서 강화기 초기 1-2주에 주로 발현되었으며 6주 이후에는 발현이 크게 감소하였다.

영문 초록

The movement of tooth-bone segments by osteotomy can simultaneously shift tooth and surrounding alveolar bon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issue changes in pulp,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in rapid tooth-bone movement with osteotomy. The mandibular 3rd premolar of a dog was extracted and cortical bones of the buccal and lingual area were eliminated, and then cortical bones around the mesial and distal area of root, and below the root apex of the mandibular 4th premolar were osteotomized. After a one-week latency period, a_ tooth-borne distraction device was activated for 6 days. And pulp,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were evaluated clinically, radiologically. hist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at 0, 1, 2, 4, 6, 8 weeks of the consolidation period and conclusions were reached as follows. 1. Latency period didn´t affect total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healing process of tissue during consolidation period. 2. Bone formation continued through 8 weeks of consolidation in distracted side, with a high peak at 1-2 weeks, and the lowest at 6-8 weeks of consolidation. 3. At 1 week of consolidation, alveolar bone resorption, osteoclast appearance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ere the most active, and dentinoclasts characteristically- appeared on the pulp and pressure side of the periodontal ligament. 4. The expression of TGF-β was area-specific, as it was strong-positive at bone matrix, osteoblast, osteoclast of alveolar bone, and dentinoclast inside pulp, but weak in pulp, cementoblast and acellular cementum 5. The expression of TGF-β was generally observed at the initial 1-2 weeks of consolidation at vessels,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osteoblast- near alveolar bone on the distraction side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weeks of consolid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경화(Kyung-Hwa Kang),김은철(Eun-Cheol Kim),이선경(Sun-Kyung Lee),임채웅(Chae-Woong Lim),마쓰다 기꾸(Kiku Matduda),태. (2004).골절단을 이용한 급속 치아이동 후 치수 및 치주조직 변화.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4 (2), 131-142

MLA

강경화(Kyung-Hwa Kang),김은철(Eun-Cheol Kim),이선경(Sun-Kyung Lee),임채웅(Chae-Woong Lim),마쓰다 기꾸(Kiku Matduda),태. "골절단을 이용한 급속 치아이동 후 치수 및 치주조직 변화."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4.2(2004): 131-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