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토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Oxotremorine 및 Forskolin의 영향

이용수 5

영문명
Interaction of Forskolin with the Effect of Oxotremorine on [3H]-Acetylcholine Release in Rabbit Hippocampus
발행기관
대한약리학회
저자명
최봉규(Bong Kyu Choi) 김종순(Chong Suhn Kim) 윤영복(Young Bok Yoon) 국영종(Young Johng Kook)
간행물 정보
『대한약리학잡지』제27권 제2호, 89~9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1.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토 해마(hippocampus)에서 acetylcholine(ACh) 유리에 미치는 cAMP의 역할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하여 [3H]-choline으로 평형시킨 해마 slice 및 시냅토솜(synaptosome)을 사용하여 [3H]-ACh 유리에 미치는 여러가지 약물들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Adenylate cyclase 활성화제인 forskolin(0.1 ~ 30μM)은 전기 및 고농도 K+ 자극에 의한 [3H]-ACh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dbcAMP 또한 ACh 유리를 강화시켰다. Muscarine성 흥분제인 oxotremorine(0.1 ~ 30μM)은 전기 및 K+ 자극에 의한 [3H]-ACh 유리 효과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forskolin 및 atropine에 의하여 차단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K+-channel 억제제인 glibenclamide(1, 10μM)는 자체로는 K+ 자극에 의한 [3H]-ACh 유리를 약간 억제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량의 forskolin(10μM)에 의한 [3H]-ACh의 증가효과를 감약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가토 해마의 presynaptic muscarinic autoreceptor를 통한 ACh 유리의 조절에는 세포내 cAMP의 관여가 확실하다 하겠으나, 일부 K+-currents의 관여를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epolarization-induced release of acetylcholine(ACh) is diminished by activation of presynaptic muscarinic autoreceptor in rabbit hippocampus and various lines of evidence indicate the involvement of adenylate cyclase system in ACh release, it was attempted to delineate the role of cAMP in the muscarinic autoreceptor-mediated control of ACh release. Slices and synaptosomal preparations from rabbit hippocampus were incubated with [3H]-choline and the release of the labelled products was evoked either by electrical stimulation or by high-K+,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agents on the evoked tritium release was investigated. Forskolin, a specific adenylate cyclase activator,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1 to 30μM, increased the [3H]-ACh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dbcAMP increased the tritium outflow. The responses to oxotremorine, a specific muscarinic agonist, were characterized by decrement of ACh release in dose range of 0.1-30μM, and the oxotremorine effects were inhibited either by forskolin or by atropine. Glibenclamide, a specific K+-channel inhibitor, in concentration of 1 ~ 10μM, decreased the evoked ACh release slightly and inhibited the enhancing effect of evoked ACh-release of a large dose(10μM) of forskol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MP might play a role in the muscarinic ACh receptor-mediated control of ACh rlease in the rabbit hippocampus and suggest that certain potassium currents may also be participated in the post-receptor mechanism of ACh releas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봉규(Bong Kyu Choi),김종순(Chong Suhn Kim),윤영복(Young Bok Yoon),국영종(Young Johng Kook). (1991).가토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Oxotremorine 및 Forskolin의 영향. 대한약리학잡지, 27 (2), 89-98

MLA

최봉규(Bong Kyu Choi),김종순(Chong Suhn Kim),윤영복(Young Bok Yoon),국영종(Young Johng Kook). "가토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Oxotremorine 및 Forskolin의 영향." 대한약리학잡지, 27.2(1991): 8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