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idocaine이 아미노산 신경전도물질의 유리, 수용체 결합, 및 섭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시험관내 실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Effect of Lidocaine on the Release, Receptor Binding and Uptake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In vitro
발행기관
대한약리학회
저자명
오안민(An-Min Oh) 정동균(Dong-Kyun Cheong) 모리 마사까즈(Masakazu Mori)
간행물 정보
『대한약리학잡지』제24권 제1호, 17~3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8.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Lidocaine 투여에 의한 전신경련의 작용기전을 추구하고자 흰쥐의 전체뇌를 또는 선조체, 해마, 및 중뇌를 부위별로 적출하여 synaptosomes를 마련하고 20μM veratrine또는 5μM K+ 첨가에 의한 신경 전달물질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ABA, Norepinephrine)의 유리촉진작용에 미치는 lidocaine, propranolol, norepinephrine 또는 serotonin의 억제효과를 관찰하였고 [3H]M와 [3H]-glutamic acid의 synaptosomes로의 섭취에 미치는 lidocaine의 영향도 관찰하였다. 아울러 crude synaptic membrane을 이용하여 [3H]-GABA와 [3H]-glutamic acid의 수용체 결합에 미치는 lidocaine의 작용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idocaine과 propranolol은 veratrine에 의한 aspartate, glutamate, GABA 및 norepinephrine의 유리를 억제하였고, 그중 GABA 유리에 대한 억제작용이 가장 현저하였다. 2. Norepinephrine과 serotonin은 100μM의 농도에서 veratrine에 의한 aspartate, glutamate 및 GABA의 유리촉진 작용을 억제하였다. 3. Lidocaine은 veratrine에 의한 아미노산 유리촉진 효과에 대해서 보다 과 K+ 에 의한 유리촉진 효과를 더욱 약하게 억제하였고 특히 GABA 유리에 대한 억제작용이 가장 약했다. 4. GABA와 glutamic acid의 수용체 결합과 synaptosomes로의 섭취는 1 mM 이하의 lidocaine농도에서 크게 면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경전도물질의 veratrine에 의한 유리가 과 K+에 의한 유리보다 더욱 생리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lidocaine 경련은 lidocaine이 흥분성 전도물질인 aspartate나glutamate보다 억제성 전도물질인 GABA의 유리를 더욱 현저하게 억제함으로서 나타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author examined the effects of lidocaine on the veratrine-or potassium-induced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to determine the possible role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in lidocaine-induced convulsion. The examined transmitters wer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norepinephrine which are released from the synaptosomes. Furthermore, the effects of lidocaine on the binding to receptors and synaptosomal uptake of the two transmitters, GABA and glutamic acid, were determined in crude synaptic membranes and synaptosom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propranolol,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on the release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were also examined. The veratrine-induced release of GABA was most severely inhibited by lidocaine and propranolol, while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reduced the release of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more than the GABA release. Generally the potassium-induced release was much more resistant to the lidocaine action than the veratrine-induced release. Among the neurotransmitters examined, the aspartic acid release was most prone to the lidocaine action, while the GABA release was most resistant. Concentrations of lidocaine below 1 mM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GABA and glutamic acid receptor binding and uptak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locking of sodium channels by lidocaine can result in the selective depression of the GABA release. This may result in unlimited excit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안민(An-Min Oh),정동균(Dong-Kyun Cheong),모리 마사까즈(Masakazu Mori). (1988).Lidocaine이 아미노산 신경전도물질의 유리, 수용체 결합, 및 섭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시험관내 실험에 관한 연구. 대한약리학잡지, 24 (1), 17-30

MLA

오안민(An-Min Oh),정동균(Dong-Kyun Cheong),모리 마사까즈(Masakazu Mori). "Lidocaine이 아미노산 신경전도물질의 유리, 수용체 결합, 및 섭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시험관내 실험에 관한 연구." 대한약리학잡지, 24.1(1988): 17-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