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내 그림의 투사적 검사로의 활용가능성 탐색에 대한 기초연구

이용수 143

영문명
Fundamental Research on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of the Projective Test of Indoor Scene Painting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손혜주,최외선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6호, 1611~16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1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이 가지는 가장 독립적이고도 내밀한 공간으로서의 방, 혹은 실내공간이 가지는 자기세계의 의미에 주목하여 다양한 문제를 나타내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가장 익숙한 생활공간인 실내 공간을 그 리도록 함으로써 실내그림이 피검자의 현재의 상황, 욕구, 정서문제, 자아개념 등의 내적 세계와 중요한 타인에 대한 의미를 밝힐 수 있는 투사도구로서 활용가능성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2년 3월에서 2015년 6월까지 D시에 소재하는 연구자의 치료실을 내방한 청소년과 성인으로서 병원에서 우 울, 사회성 장애, 지적장애, 성정체성, 경계선 성격장애, 복합 PTSD, ADD 등 진단을 받은 임상군 15명과 학업 중단숙려제 학생, 낮은 자아개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가진 일반사례 5명으로 모두 20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실내그림은 우울, 애착, 사회성, 성 정체성 문제 등을 가진 임상군에서 개인의 특징적인 증상을 아주 뚜렷하게 보여 주었다. 둘째, 실내그림은 다른 투사그림검사보다 피검자의 내밀한 내면세계와 정체성, 관계에 관련된 부 분이 종합적으로 나타나, 자기세계에 대한 상징을 해석하는 투사적 그림 검사로서 의미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indoor scene painting has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a projection tool that could clarify meaning in clients' inner worlds(their present situations, desires, emotional issues, concepts of ego and so on) and the meaning of important others. The samples in this study comprised adolescents and adults who visited our office from March, to June, 2015 in D city. They included 15 people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sociality obstacles, mental weakness, sexual identity problem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ttention Deficit Disorder(ADD) and so on, and five people who had problems for legal delay before academic interruption, lower concept of ego, and difficulty in personal relations, for a total of 20 people. The result indicat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 symptoms appeared more clearly in a clinical trial. especially in the cases involving depression, attachment, sociality obstacle, and sexual identity problems In addition, indoor scene painting shows the synthetic identities and inside worlds of clients - namely, a secretive aspect inside the clients’ world, identities, and part of the relation of the clients in deferentially other projective tests. This study found that indoor scene painting functioned as a projective painting test that could be used to analyze symbols of their own world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혜주,최외선. (2015).실내 그림의 투사적 검사로의 활용가능성 탐색에 대한 기초연구. 미술치료연구, 22 (6), 1611-1632

MLA

손혜주,최외선. "실내 그림의 투사적 검사로의 활용가능성 탐색에 대한 기초연구." 미술치료연구, 22.6(2015): 1611-16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