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적학교생활화 평가기준 개발

이용수 160

영문명
Rating Scales of Kinetic School Drawing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송명자,정현희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8권 제2호, 425~44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1.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편하고 객관적인 학교생활화 평가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기준은 Fury(1996)의 가족화 평가기준과 Burn와 Kaufman(1970)의 동적가족화 분석기준에 근거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40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ury(1996)의 가족화 평가기준을 학교생활화에 적합한 용어로 수정하였다. 정서적 거리와 역할전환 변인에 나-교우관계의 변인을 추가하였다. Fury(1996) 평가기준의 하위변인과 각 점수체계의 명확성을 위해, 단어와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Burn와 Kaufman(1970)의 동적요소를 첨가하고, 색 사용을 제외하였다. 5점 척도화하였다. 그리고 하위변인을 핵심단어로 정리하였다. 구성된 평가기준의 채점자간 신뢰도는 .80-.90, 채점자내 신뢰도는 .85-.90이었다. 둘째, 동적학교생활화 평가기준 신뢰도로 내적합치도인 Cronbach α는 .88~.92이었다. 셋째, 동적학교생활화의 수렴타당도로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보았고, 하위변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변인과 자아존중감, 교사애착,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았고,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변별타당도로 자아존중감, 교사애착,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동적학교생활화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보기 위해 t-test하였고,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적학교생활화 평가기준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objective rating scales for Kinetic School Drawing(KSD). The rating scales was based on Fury(1996)' family drawing scales & Burn and Kaufman(1970)'s kinetic family drawing scal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2 students from high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ating scales by Fury was changed into KSD'rating scales. The rating scales on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in emotional distance variable and role-reversal variable were added. The ambiguity & similar words in variables and likert-criteria by Fury' rating scales were revised. The kinetic significance by Burn and Kaufman was added. and cloring was excluded. The 5 likert-criteria was made. Also keywords in each variable were defin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80-.90 and intra-rater reliability was .85-.90. Second, as the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variables showed Cronbach'α .88~.92. Third, in the case of convergent validity, Pearson’s correlation were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concurrent validity,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KSD & self esteem, between KSD & teacher attachment, between KSD & peer relationship, and between KSD &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evaluated. And KSD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lf esteem, teacher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discriminant validity, t-test was used. High groups in self esteem, teacher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scores in KSD than low groups. As a result, KSD rating scales is considered to be objective and useful. Key Words : KSD, Rating Scales, Reliability, Valid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명자,정현희. (2011).동적학교생활화 평가기준 개발. 미술치료연구, 18 (2), 425-441

MLA

송명자,정현희. "동적학교생활화 평가기준 개발." 미술치료연구, 18.2(2011): 425-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