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프리다 칼로(Frida Kahlo)의 작품세계

이용수 524

영문명
Frida Kahlo’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Therap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강미화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4권 제2호, 349~38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는 일생 동안 자신이 겪은 외상의 경험을 작품에 투사함으로 써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극복하고 예술가로서의 자기실현을 한 화가이다. 화가가 그린 작품의 대 부분을 차지하는 자화상에는 인간의 존재론적 딜레마인 죽음과 고통에 대한 이미지가 상징적이면서도 동시에 사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의 심리치료적 의미를 일찍이 인식한 Freud와 Jung의 논의에 의거하여 프리다 칼로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작품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와 색채심리, 그리고 그림의 치유적 속성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는 화가가 정신적 상처와 육체적 고통, 그로 인한 죽 음의 공포와 충동을 어떤 기제를 통해서 극복하고 예술적 승화를 이루었는지, 그 심리적 회복과 재 생의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품의 원형이자 예술적 원천이 된 생애사적인 사건과 트라우마(trauma)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한 후,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상징과 색에 대한 해 석을 통해 화가의 심리를 분석하고, 무의식에 억압된 정신적 상처를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외현화 또는 의식화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프리다 칼로가 시달렸던 정신적 외상, 즉 트라우마는 강렬하고 끔찍한 경험에 의해 자아의 방어 및 보호 기능이 갑자기 붕괴되거나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화가는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내면의 고통을 그림으로 형상화하여 의식의 세계에서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위협하는 트라우마 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또한 그림을 통해 외적 세계를 향한 의사소통의 창구를 열어놓음으로써 병과 장애로 인한 고립과 단절을 피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화가에게 있어서 자화상을 그리는 행위는 자기탐구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감정의 정화와 승화를 통해 외상의 경험을 완화하여 심리적 균형을 회복하게 해주었고,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여 내면의 변화와 전환을 일으킴으로써 소통과 치유의 기회를 가져다 주었다.

영문 초록

Frida Kahlo(1907-1954) is a painter who went through self-realization as an artist by overcoming his mental and physical pain by projecting his traumatic experiences on her artistic expression. The self-portraits that constitute most of her works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shape the images regarding the mankind’s dilemma subjects on death and p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analyzes the self-portraits of Frida Kahlo by depending on the discussions made by Freud and Jung who have recognized the psychotherapeutical effects of paintings. This paper further studies the process of self-healing, the meaning of the symbols, and color psychology portrayed in her paintings. This is to look into Frida Kahlo’s work and life, how she overcame the physical and psychical suffering, the fear from death, and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his psychological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he mental distress or the trauma that Frida Kahlo suffered from refers to a phenomenon where the person loses the defense and protection mechanisms due to a severe and terrible experience. The artist portrayed her traumatic experiences and unspeakable pain on her self-portraits, which has allowed her to escape from the threatening trauma. Furthermore, she was able to open up the path for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rough her paintings, which had allowed her to prevent alienation and separation caused by diseases and disorder. As a conclusion, the self-portraits as a form of creative art had served as the cause for her to acquire a new identity through self-analysis, the traumatic stress was pacified through the chatharsis and sublimation to lead to the recovery of a psychological balance, and bringing about an inner change and transformation by combining the disrupted identity has brought the opportunity for healing and communication. Key Words : Art Therapy, Self-Portrait, Trauma, Ident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미화. (2007).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프리다 칼로(Frida Kahlo)의 작품세계. 미술치료연구, 14 (2), 349-381

MLA

강미화.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프리다 칼로(Frida Kahlo)의 작품세계." 미술치료연구, 14.2(2007): 349-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