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동료집단을 중심으로

이용수 478

영문명
A Study on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Art Therapy - Adolescent peer group -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최선남,전종국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4권 제2호, 161~17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1.0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몇년 동안 한국사회에서는 전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종류의 집단활동이 일어나고 있다 70년대 후반부터 집단활동이 시작된 이래, 각종 형태의 집단활동이 늘어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많은 대학 또는 지역사회 연구기관에서 보편적인 상담활동의 하나로 정착되어 왔다. 이것은 집단상담이 비교적 실제 생활 장면에 가까운 대인관계 상황을 반영하고, 축소된 사회에서 대인관계 역동을 중심으로 참자틀의 개인적 습관, 태도 및 사고방식 등을 사실적으로 평가하고 수정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rapeutic factors includ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The comparative values of therapeutic factors were examined by submitting 'Revised Critical Incident Questionnaires' to group participants in 9 counseling groups which are called group art therapy. 80 female adolescents participated once in a week for two hours. and experienced total 20 hours through 10 sessions in group art therapy. After group termination, participants filled out 'Revised Critical Incident Questionnaire' which originally Critical Incident Form(Bloch, Reibstein, Crouch‘ Holroyd & Themen.1979) was revis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a comparision of individual rankings, catharsis is a top-ranked factor, and self-disclosure, self-understanding, and universality rank high, whereas, vacarious learning, altruism, guidance, and instillation of hope rank low in our study. Second, emotional factors were more emphasized than cognitive facto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남,전종국. (1997).집단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동료집단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4 (2), 161-174

MLA

최선남,전종국. "집단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동료집단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4.2(1997): 161-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