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이용수 212

영문명
The Reexamination of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flective Journal: A University Class Case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강인애,정은실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1권 제2호, 93~11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수업사례를 통해 학습평가 방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성찰저널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곧, 학생들의 성찰저널 내용 분석을 통해 첫째, 한학기가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의 성찰저널에서 언급되는 내용과 주제를 정리한 뒤, 이것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첫 번째 연구문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Kolb의 ‘경험적 학습 사이클’에서 말하는 ‘일반화’와 ‘적용’의 단계가 성찰저널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U대학 교양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PBL 방식에 의한 수업을 진행하고 매주 수업직후 성찰저널을 작성, 제출하게 한 뒤에 이를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주제분석방법을 활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로서, 성찰저널의 내용은 크게 네 가지 영역(학습환경, 학습자로서의 자신의 모습, 학습내용, 학습평가 및 실생활에 적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업진행에 따라 학생들의 성찰 주제에 있어서 일정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로서, 학생들이 PBL 문제해결 후 작성된 성찰저널에서 언급한 일반화 단계(학습활동 및 결과와 관련되어 이루어진 결심ㆍ선언ㆍ확신ㆍ단언 등)가 이후 작성된 성찰저널에서 실제 학습과정 및 결과에 ‘적용’으로 이어지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Kolb의 학습사이클의 3번째와 4번째 각각의 단계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성찰저널이 지닌 교육적 의미는 학생들이 실지로 자신들의 학습결과나 진행과정을 스스로 그리고 객관적으로 인식 또는 확인해볼 수 있다는 점과 그 결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키우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flective journal in two aspects: 1) After categorizing the contents or themes included in the reflective journals, to analyze how the students' concerns shift over the whole semester; 2) to verify the 3rd and 4th stage of Kolb's learning cycle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flective journa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PBL class in an University, in which the participant students had submitted their reflective journals 10 times after each class over the semester.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wereanalyzed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method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 categories of reflective journal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i.e., reflection on learning environments, their identity as learners, what and how they've learned, and how to practice on their real life) and also have shifted their focus over the semester, while both the stages of ‘generalization’ and ‘implication’ in the Kolb's learning cycles were clearly detected from the reflective journals of the students. The study, therefore, reconfirm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and value of reflective journal as a learning activity and evaluation tool which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of being ‘reflective practitioners’ for the stud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인애,정은실. (2009).‘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교육방법연구, 21 (2), 93-117

MLA

강인애,정은실.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교육방법연구, 21.2(2009): 93-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