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학교학습 환경 디자인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의 「신나고 즐거운 고대부중 만들기」프로젝트

이용수 149

영문명
Making School Fun and Exciting : A Case Study of SHIN.JUL.KO.MAN Project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윤미선, 김성일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16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학교 학습 환경 디자인과 관련하여 현재 진행 중인 대학과 단위 학교 간 협력 프로젝트의 일례를 보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교육의 수축과 사교육의 팽창이 악순환 되고 있는 현시점의 학교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개별 학교들의 주체적인 노력일 것이다. 그러나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을 지향하는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이념이 완전하게 실현되기에는 다소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 소개하는 사례는 고려대학교와 고대부중 간 협력에 의한 「신나고 즐거운 고대부중 만들기」프로젝트(이하 신즐고만 프로젝트)이며, 신즐고만 프로젝트는 교사가 주체가 되고 학교.학생.학부모가 공동체를 이루어 학습자가 즐겁게 공부하고, 교사가 열정과 보람에 넘치며, 학부모는 학교와 교사를 신뢰하는 학교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으로 계획된 것이다. 이 글의 제1절에서는 신즐고만 프로젝트의 목표, 지향방향, 요구조사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방식 등을 포함하는 프로젝트의 개요에 대해 설명 하였다. 제2절은 교수-학습, 상담 및 생활지도, 교내 특기적성, 학생자치활동 등의 영역 내에서 도출된 핵심방식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안하였고, 실제로 신즐고만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부 프로그램과 향후 계획 중인 전략들을 소개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절에서는 연구를 요약하며 단위 학교 중심의 개선 노력을 통한 학교현장에 대한 시사점 및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report a case study of ongoing project to make an exciting and joyful public school for students,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arents. The present Korean educational system cause a vicious circle of reducing the role of public education and expanding out-of-school private lesson. What they need to do in order to normalize our school is to make a school fun and learner-centered environment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is aim, the 「Making School Fun and Exciting」Project (hereinafter referred to 「SHIN.JUL.KO.MAN Project」),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a college(Korea University) and its affiliated middle school, has been launched. 「SHIN?JUL?KO?MAN Project」was designed to achieve three objectives. They were to build an exciting school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to enhance self-worth for teachers, and to make parents feel confident in school. The outline of the whole process of project development was introduced, including goals, basic directions, procedures, and the results of formative evaluation. It was also proposed the specific strategies for various ongoing programs such as instruction and learning. counseling and guidance, after-school programs, parent education, and student union activit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SHIN?JUL?KO?MAN Project」was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refor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미선, 김성일. (2004).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학교학습 환경 디자인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의 「신나고 즐거운 고대부중 만들기」프로젝트. 교육방법연구, 16 (1), 1-28

MLA

윤미선, 김성일.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학교학습 환경 디자인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의 「신나고 즐거운 고대부중 만들기」프로젝트." 교육방법연구, 16.1(2004):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