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수준별 수업의 현실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성찰

이용수 489

영문명
A Critical Study of Middle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Ability Group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최윤진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6권 제2호, 145~19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0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수준별 수업의 현실과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수 준별 수업은 1997년부터 평준화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공교육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실현하고자 수월성과 효율성을 목표로 추진되어 왔다. 12명의 중학교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준별 수업이 어떻게 운영되는지의 과정을 입체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삼차원의 단면으로 범주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수준별 수업의 표면 차원에서는 학생들의 ‘성적’을 기준으로 적정 인원수를 배분한 분반 구성, 비정규직 강사 채용 그리고 정교사의 수업부담을 나누는 순환배치 형태를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수준별 수업의 드러난 내면 차원에서는 맞춤형 분반 수업의 실제 운영기제를 보여주었는데, 분반별 차별화된 교육 과정(differentiated curriculum)과 ‘수업은 다르지만 평가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상 반 학생들은 혜택을 보고 하반 학생들은 실질적인 이점을 얻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 었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숨겨진 이면 차원에서는 학생들 간에 분리와 배제를 내면화시키 지만 하반 학생들에게는 ‘그들만의 세계’로서 학습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교사들 은 자신이 맡은 분반에 속하지 않은 학생들을 담임으로서 지도해야 하는 상황, 학기 중 시 험결과에 따라 순환배치 되어 수준별 수업을 맡게 되자 매번 달라진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 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 결과 개별적인 학생 파악과 학생 관리가 어려워졌고 수업은 안정 감을 잃게 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단절되는 경험을 토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수 월성과 효율성을 표방한 수준별 수업이 보편성과 평등성을 추구하는 공교육 기관에서 실효 성을 가져올 수 있는 제도였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또한 수준별 수업의 경험과 성 찰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수업개선’ 노력에 주목하여 학교의 사 회자본(school social capital)구축의 필요성과 교사의 실행의지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reality and meaning of level-based classes at middle schools. The level-based class system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97 and pushed ahead with strong political intention of enhancing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and reducing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2 middle school teachers provid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schools’ operation of level-based classes. First, the level-based classes were run by assigning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to each level based on their GPA, hiring part-time teachers, and dividing the full-time teachers’ burden of lesson preparation. Second, the classes were divided by, and customized to different levels.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different class material but same student evaluation” approach were applied in this process. As a result, high-level students gained advantages from this class while low-level students were not benefited, in fact. Third, as GPA-centered system, the level-based class caused division and exclusion among students. However, it also provided low-level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by creating a class entirely for them and their learning. Lastly, teachers shared their frustration with feeling disconnected from students. They sometimes had to supervise students whom they do not teach in class; students were frequently reassigned to each level after midterm and final exams during semester. Thu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organize their classes and get to know individual students. It was claimed that the level-based class was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However, this study questions its effectiveness in revitalizing public education. Furthermore, carefully discussed ar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friendships, and classes in which students can learn how to cooperate and care for others instead of competing and creating divisions among themselves as social capital of sc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진. (2016).중학교 수준별 수업의 현실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교육사회학연구, 26 (2), 145-192

MLA

최윤진. "중학교 수준별 수업의 현실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교육사회학연구, 26.2(2016): 145-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