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9

영문명
Impacts of Ability Group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황여정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0권 제4호, 191~22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층모형 분석을 통해 능력별 집단편 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 제도가 한국 사회에서 지니는 함 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대체로 능력별 집단편성 참여 여부만을 고려하고 개별 학생이 배치되는 집단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단 배치에 관한 정보를 개인수준 변수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심리적 성향의 효과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분석 결과, 능력별 집단편성은 상위반에 배치된 학생들에게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지만, 중ㆍ하위반에 배치되는 학생들에 게는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할 가능성이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같은 효과는 개인이 보유한 심리적 성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경쟁적 성향이 강한 학생일수록 능력별로 분류된 상황 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능력별 집단편성 제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위반과 하위반 학생 간의 학업성취 격차를 확대시키는 기제로 작동할 가능성이 큼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한국 사회에서 이 제도의 효과가 불분명하 고 모호하게 나타나는 데는 우리 사회 전반에 만연한 경쟁지향적 풍토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 할 가능성이 큼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source for this study is the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s multi-level modeling in the view of data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ability grouping is effective only for highly competent students, but harmful for remedial class student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se effects can differ by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aking the lead in competitions as important, disliking to fall behind, and putting stress on comparisons and competitions against other people as 'competitive disposition'; then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etitive disposition and students' track placement on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of a more competitive nature exhibited relatively higher negative effects when grouped by their own academic achievement. This phenomenon is detected more readily in advanced classes. Meanwhile, it is found that school-level variables related to ability grouping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ystematic and elaborate research on the mechanisms and contexts causing these results be carried out in order to make an appropriate decision on whether to continue or abolish ability grouping.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alleviate the competitive climate which has been rampant in Korean society so as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of this practice because it is proved that this climate disturbs its expected positive effects and aggravates its unintended negative effec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여정. (2010).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0 (4), 191-222

MLA

황여정.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0.4(2010): 191-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