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승불교적 무아설의 입장에서 본 행복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이용수 227

영문명
Happiness Based on the Mahayana Buddhist Theory of No-Self - Centering on the Vimalakīrti-nirdeś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저자명
조은수
간행물 정보
『철학논집』제53호, 41~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공사상을 대표하는 󰡔유마경󰡕을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나는 공의 이론을 기반으로 ‘자아의 비존재를 주장하는 무아설’이 전개되는 논리를 살핀다. 아울러 무아설의 입장과 진제와 속제의 두 가지 차원의 진리를 나누어 보는 입장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선악, 미추, 행불행, ‘세간’과 ‘출세간’을 둘로 보지 않는 ‘불이’(不二)의 논변이 성립하는지를 고찰한다. 불이론이 세속에서의 ‘행복’의 위치에 대해 갖는 함의는 매우 크다. ‘불이’(不二)의 입장은 단지 행복이나 불행 그 자체에 집착하지 않는 것 뿐 만 아니라 행복과 불행이 다르다고 보는 차별적 관점을 뛰어넘어서 평등한 시각을 가짐으로써 높은 차원에서의 행복을 가능하게 한다. 대승불교의 이 같은 초탈의 정신과 이 초탈의 정신에 따른 삶의 방식을‘공(空)의 윤리학’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이러한 초탈의 정신 속에서 자아는 부정되지만 타인에 대한 사랑과 배려는 강조될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 부정되었던 행복의 지위는 대승불교에서 새로운 시각에서 긍정되고 있다. 대승불교적 행복의 핵심은 이타심에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무아와 공을 이해하는 사람이야말로 이타적행위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한다. 대승불교의 공에 대한 체득에서 자비의 행위가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자아는 부정되지만 타인에 대한 사랑과 배려는 강조된다.

영문 초록

If we define happiness as “a pursuit of pleasure and comfort,” then there is little in the Buddhist scripture that could be said to be written about happiness. In fact, such a term would be seen only as a target of critique. It is this pursuit of happiness that propels one into the reality that life in the world is limited and inevitably unsatisfactory. The Vimalakīrti-nirdeśa, a signature text of the Mahayana tradition, addresses the pressing need to find a harmony between the abstract doctrine of no-self and the secular pursuit of wellbeing, and eventually teaches freedom from the attachment to self and shows how the no-self doctrine can be used in thought and practice to experience a happier and more peaceful state of being. The argument put forth is that as one gains insight into the truth of emptiness and resolves to embody that insight in the world, we perceive and practice our existence as co-arising relationships with all other beings, deeply rooted to one other within the universal emptiness of non-selfness. Far from a vision of nihilistic annihilation, the non-self teaching allows one to understand the impossibility of alienation and the immediacy of one’s connection to all others. Those who comprehend the truth of emptiness are free from fixed notions of self versus other, subject versus object, absolute good and evil, beauty and grotesqueness, and as a direct result, they become free from the experience of suffering itself. Those who are free from clinging to dualities, even as they can perceive and relate to them, free from attachments, even as they work intimately with others to bring mutual salvation, can be free from the experience of suffering as well. By overcoming the habits of creating reified dualities, which in turn create false expectations which lead only to endless disappointment and pain, realized individuals enter a state of perfect peacefulness, and freedom. This is the only happiness a Buddhist can be said to seek.

목차

I. 들어가기
II. 불교의 행복 담론의 두 가지 차원
III. 행복의 추구를 통해 강화되는 “자아” 의식
IV. 대승불교의 무아설과 󰡔유마경󰡕의 불이론(不二論)
V.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수. (2018).대승불교적 무아설의 입장에서 본 행복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철학논집, (53), 41-67

MLA

조은수. "대승불교적 무아설의 입장에서 본 행복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철학논집, .53(2018): 4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