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애착유형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 가족탄력성, 스트레스 적극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738

영문명
Attachment and Post-Adversity Growth Among Bereaved Middle-aged Women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양준석 유지영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6권 제1호, 49~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경 후 성장 모델을 기반으로 가족사별 중년여성에 대한 이해와 가족사별에서 보다 회복적이고 성장적인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가족사별 중년여성 395명을 대상으로 애착유형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을 가족탄력성, 스트레스 적극대처를 매개로 하여 살펴보았다. 각 변인간의 관계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안정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역경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안정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가족탄력성을 매개로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안정애착은 스트레스 적극대처를 매개로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불안애착이 스트레스 적극대처를 거쳐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안정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가족탄력성과 스트레스 적극대처를 이중매개로 역경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족사별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상실 중심의 애도를 현실대처와 성장적 관점에서 논의하였고, 사별문제에서 애착과 같은 개인적 요인, 가족탄력성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 스트레스 적극대처와 같은 인지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애착유형과 역경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변인들 간의 단순영향이나 단순매개를 검증하였지만, 본 연구는 애착유형과 역경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스트레스 적극대처의 단순매개 뿐만 아니라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예측변인과 매개변인, 준거변인 등이 다중 매개변인들의 효과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restorative and growth-related variables in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bereaved middle-aged women. The study examined two transitional events: a developmental crisis and a bereavement event. Methods: 395 middle-aged women with bereavement experiences were investigated for the effects of attachment style,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on post-adversity grow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sults: First, secure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ost-adversity growth. Second, secure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had an effect on post-adversity growth, mediated by family resilience. Third, the secure attachment of the women affected the growth after adversity through a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but anxiety attach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t-adversity path to growth. Fourth, secure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post-adversity growth through the mediation of family resilience and an active stress-coping strategy. Conclusions: Loss-oriented mourning for the women was discussed in an integrated manner, highlighting the following variables: coping with reality and growth; individual factors such as attachment;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stress-coping strategies such as cognitive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준석,유지영. (2018).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애착유형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 가족탄력성, 스트레스 적극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6 (1), 49-76

MLA

양준석,유지영.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애착유형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 가족탄력성, 스트레스 적극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6.1(2018): 49-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