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 20대 자녀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294

영문명
Experiences of Children in Their 20s Raised in Single Father Families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이영숙 김현주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5권 제4호, 709~7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경험과 적응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 한부모 가정의 20대 자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Strauss & Corbin, 1998; Corbin & Strauss, 2008). 본 연구결과 103개의 개념, 41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정서적 안전지대의 상실’이었고, ‘상실 이전의 가족 응집력’과 ‘준비되지 않은 이별’이 인과적 조건으로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은 ‘애도하기’, ‘거리두기’, ‘모색하기’, ‘수용하기’, ‘드러내기’, ‘독립하기’로 나타났고, ‘자유로워짐’, ‘성장으로 단단해짐’, ‘미해결과제’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은 ‘일상의 변화’와 ‘한부모에 대한 사회적 시선’, ‘상실 초기 가족관계 변화’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으로 ‘가족의 지지’, ‘주위 사람들의 지지’, ‘개인의 성격적 자질’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은 ‘억압단계’, ‘모색단계’, ‘자각단계’, ‘독립지향단계’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는 ‘상실의 혼돈을 딛고 주도적 삶을 준비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를 위한 전문적 상담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substantial theor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children raised by single fathers. Methods: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Strauss and Corbin (1998) was used to analyze experiences of children in their 20s who had been raised in single father families.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103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produced. The central phenomenon was “loss of the emotional safety zone.” The causal conditions were “family cohesion before the loss,” and “no prepared farewell.” Contextual conditions were “change of daily life,”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ingle parent,” and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in the early loss.”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support of family,” “support of surrounding people,” and “problem solving style.” Actions/Interactions were “mourning,” “keeping distance,” “seeking,” “accepting,” “disclosing,” and “independence.” Consequences were “being free,” “strengthened by growth,” and “unresolved problems.” The adaptation process consisted of “the stage of suppression,” “the stage of groping,” “the stage of awareness,” and “the stage of independent aim.” The core category was “to prepare for self-initiated life after getting over confusion.” Conclusions: Specific suggestions for professional therapy we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숙,김현주. (2017).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 20대 자녀의 경험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5 (4), 709-734

MLA

이영숙,김현주.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 20대 자녀의 경험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5.4(2017): 709-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