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지역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계층성과 고분 구조의 변천

이용수 1433

영문명
Social Stratification Represented in the Silla Stone Chamber Tombs of the Gyeongju Area and Changes in Tomb Structur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최병현(Byunghy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83집, 80~129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기 6세기에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는 최고 지배계층의 묘제가 신라전기의 적석목곽분으로부터 신라후기의 횡혈식석실분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경주에서 횡혈식석실분은 통일신라 말까지 축조되었다. 이 글에서는 경주지역에서 축조된 신라 횡혈식석실분을 분석하여 그 역사적 의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경주지역의 신라 횡혈식석실분은 석실의 평면형태와 석실에 연도가 붙는 위치에 따라 모두 8개의 형식으로 구분되었고, 이어 최근 발표한 필자의 신라 후기양식토기 편년안에 따라 그 편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주지역에서 횡혈식석실분은 6세기 전반기부터 축조되었으나 7세기 후반부터는 불교식 화장묘 가 일반화하면서 그 수가 급감하였다. 석실의 형식은 편년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오히려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나 신분과 관계가 깊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횡혈식석실은 그 형식과 평면적에 따라 4개의 랭크(rank)로 구분되었으며, 신라후기에 공존한 수혈식・횡구식석곽분에서 횡혈식석실분보다 하위의 랭크가 하나 더 설정되었다. 그리고 경주지역의 신라후기 고분군들은 고분군에 따라 포함되는 석실・석곽의 랭크가 한정되어 5단계의 위계적인 차이가 있었던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고분의 각 부분별로그 축조기법을 분석하여 보았는데, 상위 랭크 석실과 하위랭크 석실 사이에는 구조와 축조기법에도 차이가 있었고, 하위 랭크 석실은 시기가 지나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상위 랭크 석실은 시기에 따라 축조기법이 변화하고 그 구조도 변천되어 갔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주지역 신라후기 석실분의 양상은 중앙집권화되고 신분제가 정착되었던 당시 신라사회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e 6th century CE, the Gyeongju area,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witnessed a transition in the type of burials used by those belonging to the highest social status.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Early Silla period came to be replaced by the stone chamber tombs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the latter continued to be used until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one chamber tombs located in the Gyeongju area and to consider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The stone chamber tombs of the Gyeongju area can b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floor plan and location of the attached entrance corridor. The temporal significance of these 8 types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ottery found within, which was analysed according to the typological scheme for Late Silla pottery recently established by the auth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tone chamber tombs were constructed in the Gyeongju area from the early 6th century but their number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late 7th century following the widespread adoption of Buddhist cremation burial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floor plan and tomb structure were not temporally sensitive features but rather representative of social status or rank. The stone chamber tomb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ir type and floor space, into 4 groups which represent different social ranks. The stone lined tombs with vertical/horizontal entrances which co-existed with the stone chamber tombs in the Late Silla period can be seen to represent an even lower rank.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Late Silla burial grounds of the Gyeongju area were comprised of burials representing a limited number of ranks so that the rank differentiation evidenced in all of the burial grounds consisted of 5 tiers only.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different tomb types were also analysed, with focus on construction method, and it was revealed that differences existed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etween the tombs of the upper and lower rank. In the tombs of the upper rank, diachronic change could be observed in tomb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tombs of the lower rank. It is suggested that these aspects of the Late Silla stone chamber tombs of the Gyeongju area are indicative of the nature of Silla society at the time which experienced centr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us system.

목차

Ⅰ. 머리말
Ⅱ. 석실의 형식
1. 형식분류의 기준
2. 석실의 형식
Ⅲ. 석실의 편년
Ⅳ. 석실의 랭크(rank)와 고분군의 위계
1. 석실의 랭크
2. 고분군의 위계
Ⅴ. 고분 구조의 변천
1. 고분의 축조기법과 그 변화
2. 고분구조의 변천과 주요고분의 편년 재검토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현(Byunghyun Choi). (2012).경주지역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계층성과 고분 구조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83 , 80-129

MLA

최병현(Byunghyun Choi). "경주지역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계층성과 고분 구조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83.(2012): 80-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