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와 고려 목탑지의 비교 연구

이용수 29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Wooden Pagoda Sites of the Ancient Period and the Goryeo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류형균(Hyunggyun Ryu)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85집, 152~189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탑은 불교의 상징적 건축물임과 동시에 당시 토목・건축기술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발굴조사된 목탑지를 대상으로 양상을 살펴보고, 목탑지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목탑지가 조사된 사원의 입지에서 고구려 사원은 모두 평지에 자리하고, 백제・신라의 경우도 평지에 위치한 예가 많다. 고려 사원 목탑지도 산지나 구릉지보다 평지에 자리한 것이 많았다. 고구려 사원은 전부 1탑3금당식 배치를 보이는 데 비해, 백제 사원은 1탑1금당식이 주류를 이룬다. 통일신라시대 목탑지는 석탑과 마찬가지로 2탑1금당식 배치가 나타난다. 고려 목탑지 배치는 거의 1탑1금당식으로 백제의 영향을 유추할 수 있었다. 목탑지의 구성요소 중 평면은 팔각형・방형으로 분류되며, 고구려・신라・고려 목탑지 일부에서 팔각형 평면이 확인되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평면 방형이다. 목탑지 규모는 3×3칸, 5×5칸, 7×7칸 등 다양한데, 황룡사지・실상사 목탑지는 7×7칸으로 대형에 속한다. 기단토 구축방법은 나라별 특성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사원별로 다르게 확인되었다. 계단의 설치위치는 4개소・2개소가 많으며, 사자사지・중방리사지처럼 1개소만 마련된 경우도 있었다. 고대 목탑지 심초는 지하식도 있으나 지상식의 예가 많고, 고려 목탑지의 심초도 이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

영문 초록

Wooden pagodas, a form of symbolic Buddhist architecture, represent the level of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of the time.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ooden pagoda sites dating to the ancient period (prior to the Goryeo period) and the Goryeo period, based on detailed observation and analysis. Goguryeo temples equipped with a wooden pagoda were located, without exception, on flatland and many Baekje and Silla temples were also situated on flatland locations. Wooden pagoda sites have been also reported on flatland, rather than hilly land, locations. While all Goguryeo temples have an arrangement pattern consisting of a single pagoda and three main halls, most of Baekje temples consist of a single pagoda and a single main hall. Buddhist templ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equipped with wooden pagodas, as with those equipped with stone pagodas, evidence a dual pagoda and main hall arrangement. As Goryeo temples equipped with a wooden pagoda mostly demonstrate a single pagoda and single main hall arrangement, it is possible consider that there was some influence from Baekje temples. The base structure of the wooden pagodas have been found to be either octagonal or square in floor plan. With the exception of a few cases with octagon-shaped base structures, the majority of pagodas reported from Goguryeo, Silla, and Goryeo temple sites had square-shaped base structures. As the methods of preparing the pagoda platforms varied from temple to temple,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During the ancient period, the main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was largely prepared under the ground; it is only in a few cases that above-ground foundations were used. A similar pattern can also be observed for the Goryeo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대와 고려 목탑지 양상
1. 고대 목탑지
2. 고려 목탑지
Ⅲ. 목탑지의 특성 비교
1. 입지와 배치
2. 구성요소
Ⅳ. 목탑의 복원적 고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형균(Hyunggyun Ryu). (2012).고대와 고려 목탑지의 비교 연구. 한국고고학보, 85 , 152-189

MLA

류형균(Hyunggyun Ryu). "고대와 고려 목탑지의 비교 연구." 한국고고학보, 85.(2012): 152-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