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어로에 관한 검토

이용수 612

영문명
A Review on Neolithic Fishing Practices of the Midwestern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상규(Ssngkyu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0집, 4~45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서부지역 어로구의 분류 및 양상과 어로형태에 관하여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중서부지역의 어로구는 어망추와 찔개살이 주로 사용되며, 기타 결합식조침과 석제작살이 시기와 지역에 따라 사용되기도 한다. 어망추는 홈의 위치에 따라 장축형과 단축형으로 구분되며, 중량에 의해 소형, 준중형, 중형, 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찔개살은 선단부 형태에 따라 4가지, 신부 형태에 따라 2가지로 속성이 구분되며, 최종적으로 I~IV형으로 분류된다. 기타 어로구에서 결합식조침은 축부가 모두 골제이며, 침부는 내기식과 무기식이 나타난다. 석제작살은 마제와 타제로 구분되며, 마제는 다시 투공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중서부지역 어로구는 해안지역 어망추의 수량과 대형어망추의 비율, 찔개살의 형태적 구분에 따라 1단계와 2단계로 크게 구분이 가능하다. 1단계에는 해안지역 어망추의 수량과 대형어망추의 비율이 낮지만, 2단계에 들어 해안지역 어망추의 수량이 급증하며 대형어망추의 비율 또한 상당히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찔개살은 1단계에는 I형과 II형이 사용되며 2단계에는 III형이 주로 사용된다. 공간적 양상에서는 1단계와 2단계를 각각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였고 해안지역은 다시 연평도지역, 영종도지역, 오식군도지역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마다 어로구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한편, 중서부지역의 어망은 반두와 투망, 자망, 후릿그물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중서부 전 지역에서 자망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후릿그물은 매가오리 포획을 위해 연평도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투망은 소형의 어망추가 대량으로 발견되는 대동강유역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이 외 오식군도 지역에서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오식군도 지역은 또한 어망추의 형태와 중량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어망어로가 실시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대형의 어망추가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볼 때 어망의 규모도 상당히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찔개살은 단독으로 쓰였다기보다는 함정어로에서 포획물을 수습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cerns the classification of fishing implements and the pattern of fishing in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 In the midwestern region, the type of fishing implement that was mainly used consisted of a net sinker and fishing point. In addition, bone points, composite fishhooks and stone harpoons were used variably according to region and period. The net-sinke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groove: the direction of the groove can be parallel to the long-axis or the short-axis of the sinker. It can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weight, into small, semi-medium, medium, and large. The fishing point can be class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fore-end, an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body part. Ultimately four types can be established: Types I-IV. In the case of other forms of fishing implements, the axis of the composite hook is always made of bone the composite hook can have a barb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ointed tip or it can be barbless. Stone harpoons can be is divided into chipped or polished types. Polished harpoon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ose with or without perforations. Two stages can be established for the use of fishing implements in the midwestern region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net-sinkers, the ratio of the big net-sinkers, and the form of the fishing points. In the first stage, the number of net-sinkers and the ratio of the large net-sinkers in the coastal area were small. In the second stage, however, the number of the net-sinkers sharply increased and the ratio of the large net-sinkers also increased considerably. Type I and Type 2 fishing points were used in the first stage. Type 3 fishing points were mainly used in the second stage.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a division between inland and coastal areas can be established for Stages 1 and 2. The coastal region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e Yeonpyeong Island region, the Yeongjong Island region, and the Osik Islands region. The nature of the fishing implements that were used differs according to region. In terms of fishing nets, it can be identified that dredge nets, cast nets, gill nets, and seine nets were used in the midwestern region. The type of net most widely used in the region was the gill net. Seine nets were used to capture eagle rays in Yeonpyeong Island. Cast nets was used in the Taedong River basin, where a large number of small net-sinkers are found, and possibly in the Osik Islands. It is likely that various types of fishing nets were used in the Osik islands since the forms and the weights of the net-sinkers in this area are diverse. Based on the high ratio of the large net-sinker, it appears that the fishing nets were large in size. It is assumed that fishing points were not used by themselves but in association with traps.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서부지역 어로구의 종류와 분류
Ⅲ. 중서부지역 어로구의 양상과 어로형태
Ⅳ. 중서부지역 어로의 특징—맺음말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규(Ssngkyu Lee). (2016).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어로에 관한 검토. 한국고고학보, 100 , 4-45

MLA

이상규(Ssngkyu Lee).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어로에 관한 검토." 한국고고학보, 100.(2016): 4-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