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집단과제 활동에서 명상기반 훈련이 집단응집력과 집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비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의 비교

이용수 518

영문명
Effects of a Meditation-based Training for College Students on Group Cohesion and Group Satisfaction: Comparing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and Mindfulness Meditation
발행기관
한국명상학회
저자명
이해선,김완석
간행물 정보
『한국명상학회지』제7권 제2호, 47~6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상기반의 훈련이 팀과 같은 조직장면에서 어떤 효용이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팀훈련 형태의 명상훈련이 집단의 응집력과 집단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팀내 구성원에 대한 신뢰와 연결감, 상호이해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만일 그런 긍정적 효과가 있다면 명상법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른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대학생 32명을 자비명상 훈련집단과 마음챙김명상 훈련집단에 무선할당하고 5회기로 구성된 명상훈 련과 함께 4-6명으로 이루어진 팀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했다. 집단응집력과 집단만족도, 동 료에 대한 신뢰도, 상호이해도, 연결감, 연민적 사랑을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과제관련 집단응집력은 두 가지 명상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집단응집력은 자비 명상집단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집단만족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 다. 팀장이나 동료에 대한 신뢰도와 상호이해도, 팀원에 대한 연결감은 자비명상 집단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마음챙김명상 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연민적 사랑은 두 집단 모 두에서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연구의 결과를 다양한 팀활동이 이루어지는 조직장면과 관련 지어 논의하였고, 명상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선,김완석. (2017).대학생의 집단과제 활동에서 명상기반 훈련이 집단응집력과 집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비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의 비교. 한국명상학회지, 7 (2), 47-61

MLA

이해선,김완석. "대학생의 집단과제 활동에서 명상기반 훈련이 집단응집력과 집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비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의 비교." 한국명상학회지, 7.2(2017): 47-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