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를 위한 일생의례 활용 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개선방안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이용수 388
- 영문명
- The applications of the long life-ritual the fusion education running and improvements -Centered from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저자명
- 전소윤
- 간행물 정보
- 『박물관교육연구』제15,16호(합본), 57~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박물관은 현재 사회교육기관이자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고, 관람객도 그에 대한 기대치
가 올라가고 있다. 박물관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으로 ‘다
른 학문과의 융합’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학문과의 융합’ 사례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개발
된 ‘나를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을 선정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일생의례라는 주제를 활용하여 박물관에서 진행된 표현예술 치료 프로그램이다. ‘일생
의례’라는 주제는 박물관과 심리치료가 융합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되어주었다. 따라서 ‘나를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을 통해 일생의례 주제를 활용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박물관이라는 대중적인 공간과 심리치료라는 분야가 결합된 프로그램으로 학습자들의
거부감을 최소화시켰고, 전시실과 연계된 수업으로 학습자들이 전시를 통해 일생의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러나 일생의례에 대한 흐름이나 의례의 중요성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 개선 방안이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현재 교육 프로그램에서 누락된 의례들과 현재까지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에 대한 개선
이 필요하다. 이처럼 다양한 학문을 박물관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이
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박물관교육에서의 융합교육의 필요성
Ⅲ.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과 평가
Ⅳ.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