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이용수 150

영문명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종수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50권, 173~2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후기 불교계의 자생적인 활동 양상에서 가장 두드러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 지역은 호남지역이다. 17세기 이후 호남지역에 다수의 고승들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분위기를 주도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사찰이 대흥사다. 대흥사는 임진왜란 이후 청허계의 편양파와 소요파가 정착한 곳으로 많은 훌륭한 禪師와 講師들이 배출되었다. 대흥사 현창 운동은 18세기 말에 본격화된다. 그 시발은 戒洪이 1777년에 西山大師碑를 재건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그 서산대사비의 碑文 가운데 일부가 조작되면서 서산대사와 대흥사의 인연이 강조되었던 것 같다. 그 후 계홍이 1786년에 서산대사의 遺意가 기록된 「寶藏錄」을 발견하였는데, 그 내용 가운데는 ``서산대사가 대둔사는 宗統이 돌아갈 곳이므로 衣鉢을 전수하도록 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이에 대흥사 승려들은 1788년에 「보장록」의 내용을 조정에 보고하면서 대흥사 境內에 서산대사의 忠義를 기리는 표충사 건립을 요청하였고, 그 해에 국가로부터 公認되었다. 그러나 「보장록」은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세기 초 『大芚寺志』 편찬자들은 「보장록」의 오류를 지적하면서도 서산대사 遺意를 강조하고 12宗師와 12講師의 계보를 확립하면서 대흥사가 팔도의 宗院임을 표방하였다. 이것은 아마도 당시 경쟁 관계에 있던 송광사가 僧寶寺刹로 인식되고 있었던 것에 자극을 받았던 것 같다. 그리고 당시 대흥사 승려들의 자신감이 표출된 것으로 18세기 이후 불교계의 중심 활동 지역이 전라도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寶藏錄과 서산대사 遺意
Ⅲ. 『대둔사지』 편찬과 그 의도
Ⅳ. 결론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수. (2011).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동국사학, 50 , 173-200

MLA

이종수.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동국사학, 50.(2011): 173-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