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양 뮤지엄의 수집 활동과 그 영향
이용수 12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박윤옥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26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물질세계는 인간이 만들거나 사용한 물건들로 꽉 차있다. 사람들은 목적을 가지고 물건을 만들
었으며, 따라서 모든 물건에 존재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물건, 즉 오브제(Object)에는 인류의
흔적과 의도가 있다. 오브제는 수집이라는 과정을 거쳐 컬렉션으로 모이게 되는데, 컬렉션은 수집
하는 사람의 일부로서 자신이 누구인가를 드러내게 되는 중요한 수단으로 수집가의 삶과 가장 친
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컬렉션을 누가 가지고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세계관이나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컬렉션은 세상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특정 방식을 대변하기 때문이다.
서구 유럽에서는 일찍이 침략과 해외 탐사 등 여러 가지 방식과 경로를 통해 오브제를 수집했다.
그들은 단순히 기념품이라든가 자신의 관심사를 따라 오브제를 모은 것이 아니고, 17세기부터는
계몽주의와 식민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전 세계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제를 조직적으로 수집
하게 된다. 수집된 컬렉션은 거의 모든 분야에 펼쳐 있어 컬렉션을 분류하고 연구하게 되면서 고고
학, 인류학, 민족학, 자연과학 같은 체계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학문의 발달과 함께
유럽과 서구인이 세계 중심이 되고 가장 우수하다는 이론을 세우면서 유럽중심주의가 팽배하게
된다.
서양에서 유럽 중심의 학문적 기초 수립은 일부 문화자원의 국제 불균형에서 왔다고 볼 수 있다.
문화자원의 국제 불균형은 또한 부(富)의 불균형을 반영하는 것으로, 뮤지엄과 그 컬렉션은 국가의
문화정책을 적용하는데 귀중한 도구가 되었다. 세계의 대규모 뮤지엄들은 한 나라의 문화적 부를
상징하는 주요 기관이며 관람객을 끌어들이는 볼거리로서 관광수입을 내는 매우 중요한 경제자산
이다. 뮤지엄 컬렉션의 불균형은 한 나라 안에서 자신들의 유산을 ‘빼앗긴’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유럽의 팽창주의와 제국주의에 자신들이 살아왔던 땅과 주권을 빼앗긴 북아메리카의
인디언이라든가 호주의 마오리족뿐만 아니라 중남미의 인디오들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뮤지엄 컬렉션 형성
Ⅲ. 컬렉션의 체계적 분류, 그 이후
1. 학문의 발달
2. 유럽중심주의
3. 경제적 영향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博物館???の可能性 -地域活性化と博物館??の考察-
- 한ㆍ일간의 박물관 교류와 박물관 경영을 위한 提言
- 전북지역 공립박물관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 韓·日·中 공통문화 활성화를 위한 ‘四君子 博物館’ 건립제안
- 博物館?の多?性と深化 ? 大?博物館を事例として?
- 한국 호랑이 석상(石像) 현장 연구
- 박물관학의 분과학문으로서 위상과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
- 박물관 마케팅 방향과 과제
- 지역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 유물의 수집과 활용방안 모색 - 경기도박물관을 대상으로 -
- 모바일 해석 매체의 비간섭적 특성 및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小規模博物館連携と地域社? - 市立博物館職員の視点から-
- 地域を活性化した日本の博物館事例 -?究を通じたミュ?ジアム??の考察-
- 제주 박물관 현황과 진흥 방안
- 서양 뮤지엄의 수집 활동과 그 영향
- 博物館?の?展方策と人材養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