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元曉의 無碍舞에 내재된 基本思想

이용수 144

영문명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채한숙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14권, 191~21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元曉는 無碍舞라는 포교예술을 고안하여 귀족불교의 대중화를 선도한 대표적인 民衆僧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많은 양의 문헌과 민중교화의 행 적을 남긴 元曉의 삶과 사상은 기본적으로 一心과 和會와 無碍를 근간으 로 전개되었다. 元曉思想의 심화과정은 無碍思想에서 破戒와 無碍行이 라는 교화에의 열정으로, 그리고 無碍舞의 창안이라는 실천에 이르며, 이는 곧 元曉의 궁극적인 염원이었던 ‘一心의 근원으로 돌아가[歸一心 源] 널리 중생들을 이롭도록 함[饒益衆生]’의 표현이었다. 이처럼 元曉 思想 실현의 결정체인 無碍舞의 명칭은 ?三國遺事?에 의하면, “元曉가 ? 華嚴經?의 ‘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 구절을 따서 ‘無碍’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전한다. ?華嚴經疏?를 저술하는 등 華嚴思想에도 조예가 깊었던 元曉는 본인이 섭렵한 불교사상을 대중에게 알기 쉽게 전파하고자, 비교 적 파급력이 큰 예술방식을 택하여 몸소 대중들 앞에서 보였던 것이다. 기본적으로 無碍舞는 엄숙한 불교의식무도 왕실귀족의 의례무도 아니었 다. 본래 元曉는 聖俗不二 一心和諍의 정신을 대중에게 전하고자 특정한 격식이 없는 쉽고 간단한 歌舞를 창안하였다. 그러나 고려 이후 무애무 가 궁중에 유입되면서 왕실과 귀족층에 한정 되었다. 따라서 자연히 元 曉 당시의 민중ㆍ대중적 성향은 사라지고 양식화된 궁중가무의 변형태로 정착하여 전승되게 되었다. 이는 無碍舞의 전승에서 꼽을 수 있는 하나 의 큰 특징이다. 이와 같이, 민중성이라는 특성을 강하게 지녔던 無碍舞 는 궁중정재로 변화되며 연행내용 뿐만 아니라 사상적 측면에 있어서도 ‘佛敎에서 儒敎’라는 변모를 겪게 되었다. 무애무의 기본 사상적 요소로 서 一心, 無碍, 淨土信仰과 大衆性을 들 수 있으며 이 같은 측면에서 다 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알 수 있다. 첫째, 元曉는 一心의 진리의 세 계는 染淨과 眞俗의 융합된 경지이며, 중생들이 本覺이지만 無明風으로 인해 잠시 本覺을 자각하지 못함을 깨우쳐 주고자 하였다. 둘째, ?破閑 集?에는 無碍舞에 대해 “雙소매를 휘두름은 二障을 끊었기 때문이요, 세 번 다리를 들어 올림은 三界를 초탈한 까닭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쌍 소매로 표현된 二障의 해탈에 관한 것 이다. 元曉는 번뇌와 장애의 해탈을 논구한 저서로 ?二障義?가 있으며, 현실세계에서 주체(我)와 객체(法)가 실체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無碍舞가 기록된 『破閑集』?『三國遺事』의 기록들
3. 一心 : 歸一心原而饒益衆生
4. 無? : 眞俗無?ㆍ二障無?
5. 淨土信仰 : 大衆性
6.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한숙. (2014).元曉의 無碍舞에 내재된 基本思想. 퇴계학논집, 14 , 191-214

MLA

채한숙. "元曉의 無碍舞에 내재된 基本思想." 퇴계학논집, 14.(2014): 191-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