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식호흡이 상·하지 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5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곽미경 김윤경 홍해숙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13권 제1호, 23~2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술을 앞둔 환자들은 활동의 제한, 사회경제적인 걱정들, 수술 후의 후유증이나 신체기능저하 등에 대한 두려움 등의 다양한 정서적 반응으로 인해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수술 전 불안은 마취회복과 수술 후 환자 상태에 영향을 주고, 불안 감소는 수술 후 회복을 증진시키며 부작용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Choi, 2006). 더구나 수술 전 불안 수준은 입원환자보다 높아 중재가 필요하며, 전인적인 관점에서 수술 전 불안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Joe & Hong, 2001).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물치료, 정신치료, 행동치료가 사용되어 왔으나 약물치료는 예기치 않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고, 정신치료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행동치료는 간호사가 손쉽게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다(Kim, Song, & Choi, 2000). 수술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간호중재가 연구되어 왔는데 그 예로는 마사지 요법(Kim & Chang, 2000), 사전정보제공과 교육(Ju, 2002), 이완요법(Song & Kim, 2010), 심상요법(Lee, 2004), 지지적 간호중재(Joe & Hong, 2001), 음악요법(Lee & Hong, 2008) 등이 있다. 정보제공은 선행연구를 고찰해보면, 일관성이 없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Oh & Ahn, 1997), 수술과 관련된 정보를 많이 알려주는 것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지 않는 성향을 가진 환자에게는 오히려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Kim et al., 2007).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OME III에 의한 국내 대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의 유병률, 증상유형 및 위험요인
- 손 씻기 후 손 건조방법에 따른 세균 제거 효과 비교
- 선호음악요법이 방광경시술시 불안, 통증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농촌 여성노인들의 우울과 건강체력간의 관련성 연구
- 복식호흡이 상·하지 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
- 서울시내 일개 복지관에 내원하는 노인의 대사증후군 발생양상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손 씻기 수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 시설노인의 불안, 우울, 수면장애 및 피로에 대한 향요법 손마사지의 적용 효과
-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영양상태, 자각증상 및 정보요구도
- 저강도 격일 운동과 매일 운동이 쥐 뒷다리근에 미치는 근 비대 효과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