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듣기 전 활동이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듣기 이해도와 정의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3
- 영문명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여원 마지현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0권 제2호, 87~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영어 및 영어 듣기 학습에 대한 인식, 그
리고 듣기 활동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조사했다. 또한 듣기 보조로 활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의 듣기 전 활동(사전 어휘
학습, 배경지식 활성화)이 해당 학생들의 듣기 이해 및 정의적 요소(흥미, 동기,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후 대
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의 영어 듣기 수업 향상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고찰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전라남도 소재의 대
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인 H고등학교 1, 2학년 4개의 반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사전 어휘학습 집단과 배경지식 활성화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 어휘학습 집단에게는 주요 어휘 목록을 제시해 학습시키고, 배경지식 활성화 집단에게는 주제와 관
련한 그림이 있는 활동지로 자유롭게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게 했다. 3주간 총 3차례에 걸쳐 영어 학습과 영어 듣기에 대한
설문조사, 사전 정의적 영역 검사, 듣기 활동, 사후 정의적 영역 검사 순으로 실험을 진행했고, 보다 의미 있는 연구결과 분
석을 위해 매 회 듣기 활동을 하고 나서 활동의 효과성 여부에 대한 주관식 설문조사 및 개별 인터뷰를 진행했다. 정량적으
로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먼저 듣기 전 활동은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듣기 이해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흥
미, 동기, 불안)의 변화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또한 두 종류의 활동 간 효과성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어와 영
어 듣기에 대한 기초 설문조사 및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영어에 대해 입시보다는 의사수통 수단으로서의
기능적인 면을 중요시 여기고 있으며 영어 듣기에 있어서는 기본 어휘 지식 및 자신감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 듣기 교육이 집단 특수성을 보다 잘 고려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한 후 보조 활동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 중학교 범교과 수업공동체의 특징 탐색
- Teacher Beliefs and Extensive Reading (ER): Articulating the Ambiguities of ER Principles
- Dewey, Freire, and Foucault and an Ever-Evolving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 한국 예비교사가 미국 교육 현장에서 실시한 수학 수업에 대한 분석
-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핀란드의 PISA 2012 수학 성취와 교육맥락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시스템 사용성 평가
- 중학교에서의 골프수업에 대한 인식과 가능성 탐색 : 하나로 수업 모형을 통하여
- 듣기 전 활동이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듣기 이해도와 정의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