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분 단원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1
- 영문명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인협 조선아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15권 제2호, 391~4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정 7차 교육과정부터 고등학교 인문사회 과정 학생들도 ‘미적분과 통계 기본’교과서를 통
해 미분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미적분학을 가르치는 교사의 수학적 지식은 어떠한지 또한
그러한 교사의 수학적 지식은 옳은 것인지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분석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분 단원에 대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이 어떤 수학적 지식
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미분 단
원의 오개념과 오류에 관한 내용 요소별 분석틀을 제사하였고 미분 단원의 학습목표에 따라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개발한 설문 문항에 따라 교사의 수학적 지식(MKT) 및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MKT의 하위 영역 분류에 따라 영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분 단원에 대한 수학 교사들의 MKT 총점은 23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18.61점, 표준편차는 3.192점인만큼 우수하며 전반적으로 학교 수학에 대해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미분 단원에 대해 MKT 영역의 세 하위 영역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
다. 먼저, 교과 내용 지식(SMK)의 점수는 최저점 6점, 최고점 16점이고 평균은 12.97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둘째, 내용과 학생에 관한 지식(KCS)의 점수는 최저점 0점, 최고점 4점이고 평균은 2.94
점으로 높다. 셋째, 내용과 교수에 관한 지식(KCT)의 점수는 최저점 2점, 최고점 5점이고 평균은
4.14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5개 고등학교의 3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특성이
다른 집단에서는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미분 단원에 대한
우리나라 전체 수학교사의 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적 지식(MKT)로 일반화하기는 힘들다.
영문 초록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부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과 관련된 사회ㆍ윤리적 주제 교수에 대한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의 인식
-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교원 양성기관 과학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초등 교사들의 인식연구
- 대학 체육교과에서 온라인 수업(online course)의 구조와 적용 가능성 탐색 : 미국 대학 체육교과 사례를 중심으로
- PISA 2006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 맥락요인의 영향력 분석
- 드모르간의 관점에 따른 수학영재용 음수 지도 프로그램 개발
- 놀이감 대여 프로그램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미분 단원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
- 변성기 남자 청소년을 위한 가창 지도 방법
-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 체계적 분류틀을 이용한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생물교과서 실험활동의 탐구수준 비교
-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
- 다항식과 다항함수에 관한 교수학적 분석
-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
- 체육수업에서의 교육 소외 학생 수업 적응 과정 : 인문적 체육교육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