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단음절어의 주파수중요기능 연구
이용수 4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이경원 김진숙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청능재활 제8권 제1호, 24~3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파수중요기능(Frequency Importance Function, FIF)
은 언어를 인지하기 위한 공헌도를 1/3 또는 1 옥타브 주
파수대역(octave frequency band) 별로 0에서 1까지의
숫자 또는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어음명료지수(SpeechIntelligibility Index, SII)의 산출에 있어서 청력역치와
더불어 중요한 요소이다. 초기의 FIF 관련 연구는 다양한
전기음향적인 조건에서 어음 신호가 전화 등의 통신기기를
통하여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Bell Telephone Laboratories에서 개발하였으며(French
& Steinberg, 1947; Fletcher & Galt, 1950), 미국국가
표준기구(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ANSI)
는 1969년에 FIF를 미국의 국가표준으로 제정하였다
(ANSI S3.5, 1969). 이후 ANSI는 1997년에 FIF와 관련
된 용어인 'Articulation index'를 'Speech intelligibility
index'라는 용어로 개정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ANSI S3.5, 1997; ANSI S3.5, 2007). SII의 용도는
난청인의 청력 역치에 따른 어음이해능력을 예측하거나 보청기 착용 전후의 어음인지능력, 즉 보청기의 수행능력평
가(Hou & Thornton, 1994; Pavlovic, 1994; Amlani et
al., 2002), 혹은 난청인의 보청기적합에 이용하거나 보청
기적합공식의 산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Byrne
& Dillon, 1986; Souza et al., 2000; Byrne et al.,
2001).
영문 초록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단음절어의 주파수중요기능 연구
- Markov 신호처리 모델을 응용한 청각재활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헤어밴드의 압력과 자극 위치 및 자극음 종류에 따른 골전도 역치 변화
- 쥐 와우의 영상 분석에 있어 Micro-CT의 가능성과 한계
- 학령기 난청아동의 교실소음 속 어음 및 환경음 인지에 관한 연구
- 경사형 및 수평형 난청유형에 따른 단음절 인지에 관한 비교연구
- 소음 하에서 건청 및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문장인지역치 연구
- 차원 축소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자음간 거리 매핑 연구
- 조기청능재활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아의 발성패턴 연구
- 청각장애평가지수 사용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설문지 유형 비교
- 소음 상황에서 건청 성인의 마찰음 지각에 관한 신호 가중치 전략 (Cue Weighting Strategy) 연구
- 성인 및 아동의 시간압축 단어인지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