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컬 경쟁력 연구: 도제학습을 매개로 한 메이커 뮤직

이용수 0

영문명
Singing with Vocal Competitiveness Study: Maker Music to Tackle apprenticeship study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주진(Jin Ju)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5권 1호, 135~15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Learner(학습자)와 Runner(뛰는 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은 학업적 성취혹은 기록의 향상에 대한 불확정성이나 다른 외부적 요인(시험의 결과에 대한 부담감, 경기 전 부상에 대한 염려 등)의 개입에 대항하는 내적 향상성을 훈련하는 과정이존재한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서술한 학습 과정의 스펙트럼이 성인학습자로확대될 때 교육의 목표로서‘앏’에 대한 열정, 교수자의 지도에 대해 학습자가 가지는 ‘무조건적 신뢰’의 회복이 곧 교육목적의 본질적 맥락에서와 같이 동가치성을 허용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시한다고 사료된다. 마치 모두의 어린시절 교수자의 지도에 대한 일말의 의구심이 없이 모차르트 곡을 연주하던 그 순수성으로 회귀하고자 성실하고 묵묵하게 단련해 온 러너(learner,runner)에게 주어지는 보상으로 볼 수 있다. 모차르트의 피아노곡은 초급자에게는 명료한 연습곡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학문에 대해 가지는 기초 훈련, 지식의 수급이 없이 연주할 수 없도록 설계 된 레퍼토리이므로 페달 혹은 음향설비의 구비로 그 연주의 완결성을 획득할 수 없다. (Alexandre Tharaud 2017, 205). 여기에 지식의 효용성, 가치에 대한 정의는 사회적 필요와 환경에 의해 변화하는 가변성을 내포하고 있다. 개인용휴대형 타자기의 발명되기까지 필사 길드를 통해 서책이 발간되었듯이 과거에는존재했으나 지금은 기술의 발전을 원인으로 소멸된 직업, 학문 등이 있다. 이를일컬어 ‘지식의 유효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유효성의 주기가 점점 단축되고 있다 하여도 교육 혹은 훈련이 표방하는 본질적 가치에 위치한 영속성은 부정할 수없다. 대부분 도제 학습방식을 통해 전승되는 실용음악 계열 과목에서 특히 전공실기 과목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 인지적 도제 학습, 교육학 이론인 구성주의, 상황학습 이론에 적용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first thing the 6th curriculum generation encountered,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bizarre students who entered “national school” and graduated “elementary school” (the beginning of the two-part school system, the complete change of MS from Basic to Windows, etc.) Do I have the ability to offset this, such as “uncertainty”, “knowledge imperfections”, and “mistrust in learning methods”? What knowledge do we need to know for life, and how can we try to know it? The meaning and method of education differ according to culture and times, but arts and sports education is based on apprenticeship education (teacher-student), not a general curriculum. It is organized to provide sufficient communication time for this, combines STEM education and pedagogical theories such as vocal-pedagogy and performance/production, and presents Scaffolding, TMI, and UTECH models.

목차

1. 서론
2. 인지적 도제학습
3. 본론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진(Jin Ju). (2025).보컬 경쟁력 연구: 도제학습을 매개로 한 메이커 뮤직. 교방문화연구, 5 (1), 135-150

MLA

주진(Jin Ju). "보컬 경쟁력 연구: 도제학습을 매개로 한 메이커 뮤직." 교방문화연구, 5.1(2025): 135-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