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 기반 토양 배수 등급 분류 시스템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soil drainag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image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경철(Kyoung-Chul Kim) 이단비(Dan-Bi Lee) 손연규(Yeon-Kyu Sonn) 김만중(Man-Jung Kim) 이기범(Ki-Beom Lee) 홍영기(Youngki Hong)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3호, 43~5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다양한 변화(기후변화, 인구감소 등)로 안정적인 농업 생산 기술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토양은 노지 농업에서 작물의 생육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이다. 관행적으로 토양 배수 등급 분류는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는 대표적인 조사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기반의 토양 배수 등급 분류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광 조건을 고려한 영상 수집 장치와 분석을 위한 코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영상 수집 장치로 토양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색공간 분석을 통해 6단계의 토양 배수 등급을 분류하였다. 영상 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검증을 하였다. 검증 결과 토양배수 등급 양호와 불량은 HSV의 H 값과 L*a*b* 의 a*b* 값을 통하여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스마트농업을 위한 정보 기반의 농업 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추후 기계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분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various changes (climate change, population decline, etc.) have increased the need for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ies. Soil is one of th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growth of crops in open field agriculture. In practice, soil drainage classification is a typical investigation method that relies on the experience of experts.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information-based soil drainage classification. An image acquisition device considering extreme conditions and a code for analysi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image acquisition device acquired soil image information and classified six soil drainage classes through color space analysis. The image measurement device was developed and verifi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oil drainage grades could be classified through the H value of HSV and the a*b* value of L*a*b*.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 presented an information-based agricultural survey method for smart farming. In the future, we will conduct research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models.
목차
Ⅰ. 서론
Ⅱ. 토양 시료 DB 구축
Ⅲ. 시스템 구성과 분류 방법
Ⅳ. 실험 및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3호 목차
- 농식품 유통 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가격 프리미엄 지불 의향에 관한 연구
- 클라우드 기반 근권 환경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