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을 호소하는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친 상담 관계요인 분석 :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용수 1
- 영문명
- Analysis of Counseling Relationship Factors Affecting the Counseling Outcomes of Cli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 A Mixed-Methods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신은혜(Eun-Hye SHIN) 김민경(Min-Kyung KIM) 박현정(Hyun-Jung PARK)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1호, 75~9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 관계요인 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에 우울 증상으로 인해 5회기 이 상의 상담을 받은 49명을 대상으로 순차적 설명설계를 활용한 혼합연구를 진행했다. 먼 저, 양적 설문을 통해 작업동맹 및 실제 관계가 지각된 우울 감소에 미친 영향을 다중회 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작업동맹 점수가 높을수록, 실제관계 점수는 오히려 낮을수록 참여자들이 지각한 우울감 감소에 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심층적으로 설명하고 해석하기 위해 양적 설문 참여자 중 지각된 우울 감소량이 상대적 으로 큰 참여자 1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친 상담 관계요 인이 무엇이었는지 탐색하고 합의적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적 관 계’와 ‘작업적 관계’ 두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혼합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 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 관계요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unseling relationship factors that affect counseling outcomes for clients who suffer from depression. A mixed-methods approach using a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was conducted with 49 individuals who had attended at least five counseling sessions for depressive symptoms within the past year.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working alliance scores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depression reduction, whereas lower real relationship scores also had a positive effect. To further understand these findings, in-depth interviews with 16 participants who reported significant depression reduction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identifying two categories: “accepting relationship” and “task-oriented relationship.”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counseling relationship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in depression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 1호 목차
- 공군사관생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우울을 호소하는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 성과에 영향을 미친 상담 관계요인 분석 :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자의 아동학대행위자 상담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산학연계 교수법으로서 IC-PBL의 대학 수업 적용에 관한 연구: 교직과(외식조리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 상담사 보조용 AI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상담사의 요구 및 우려와 기술적 대응에 대한 고찰
- 군집분석을 통한 한국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별 성격강점과 생애목표, 진로장벽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