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이츠의 춤 이미지에 제시된 ‘존재의 통합’ (II)

이용수 0

영문명
Unity of Being in Yeats’s Imagery of Dance (II)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고준석(Joonseog Ko)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44권, 227~2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이츠는 음양의 조화를 방편으로 사용하여 존재의 통합에 도달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이러한 조화는 무용수가 긴장과 갈등의 단계를 거쳐서 육체와 정신이 융합되는 남녀의 성행위를 통해 양성이 하나로 통합되는 정점의 시점에서만이 성취되는 지복의 상태이다. 성행위를 상징하는 춤 이미지에서 1)화자는 무용수가 춤을 추는 꿈을 꾸고, 2)그 춤은 성행위를 하는 이미지로 재현되고, 3)무용수는 탑의 나선형 계단을 따라 선회하여 탑의 정상에 도달한다. 이러한 것은 4)조각상, 미인, 태양과 달의 결합과 같은 상징으로 시에 발현된다. 예이츠는 존재의 통합에 이르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이와 같이 성행위를 상징하는 춤 이미지를 사용하여 자신의 핵심사상에 도달하는 또 다른 과정을 제시했다. 이처럼 무용수가 춤을 추면서 육체와 정신이 하나로 통합된 상태는 불교에서 열반에 이르는 단계를 연상시켜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how Yeats attains the Unity of Being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the yin and the yang. This reconciliation is an aspect of beatitude. Yeats depicts sexual intercourse of male and female as an image of dance which attains this state of beatitude. 1) The narrator watches his or her dream in which the dancers are dancing. 2) The dance represents the image of sexual intercourse. 3) The dancers reach the top of the tower whirling up the twisted circuit stairs. 4) The process is manifested in symbols in Yeats’s poems: a statue, a beautiful woman, and the integration of the sun and the moon. The condition for the dance to unite body and spirit through dancing with opposite sex is similar to Nibbāna that a hermit reaches through a thorough training in Buddhism.

목차

I. 들어가면서
II. 양성의 결합
IV.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준석(Joonseog Ko). (2014).예이츠의 춤 이미지에 제시된 ‘존재의 통합’ (II). 한국 예이츠 저널, (), 227-250

MLA

고준석(Joonseog Ko). "예이츠의 춤 이미지에 제시된 ‘존재의 통합’ (II)." 한국 예이츠 저널, (2014): 22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