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이츠의 반동적 정치학과 유토피아적 혁명주의

이용수 0

영문명
Yeats’s Reactionary Politics and Utopian Revolutionism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강민건(Min Gu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44권, 205~2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이츠는 일반적으로 낭만주의자, 컬트주의자, 모더니스트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예이츠를 식민 사회를 경험한 탈식민주의자로 가정하여, 파농, 사이드 그리고 스피박의 이론을 가지고 예이츠의 텍스트를 분석하고자 한다. 문학의 독법으로서 탈식민화의 과정은 단순히 학문적 체계 안에서 글읽기로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주요 실천적인 독법의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의 주요 관심사는 그의 시적 글쓰기에 재현된 언어와 신화의 도구를 가지고 탈식민화에 기여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결국, 탈식민주의적 담론과 텍스트 전략은 제국주의의 암묵적인 의도에 숨겨진 지배 이데올로기를 밝혀내는데 주요한 영향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Yeats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a romantist, occultist, and Modernist. What I want to do is to regard Yeats as a post-colonialist living in a colonial society, placing him in the context of post-colonialists’ views, including those of Frantz Fanon, Edward Said, and Gayatri Spivak. Decolonizing Yeats as a literary reading is now an influential textual strategy. Being interested in the myth and language used in his poetry, I attempt to search for the true Irish-ness, in which Yeats makes every effort to materialize the reality of Ireland in his poetry. To sum up, the decolonial discourse and its textual strateg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baring the dominant ideology hidden in the seemingly impersonal intention of imperialism.

목차

I. 탈신화화와 탈식민주의 서문
II. 예이츠의 역사의식과 생산적 이데올로기의 표출
III. 시인의 상상력과 탈신화적 공간 창출
IV.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민건(Min Gun Kang). (2014).예이츠의 반동적 정치학과 유토피아적 혁명주의. 한국 예이츠 저널, (), 205-225

MLA

강민건(Min Gun Kang). "예이츠의 반동적 정치학과 유토피아적 혁명주의." 한국 예이츠 저널, (2014): 205-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