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man who suffers and the mind which creates”: Arthur Hallam, W. B. Yeats, T. S. Eliot, and “genuine inspiration”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James Pethica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44권, 15~3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젊은 시인 예이츠는 개인의 상상력이 영감의 제일 중요한 원천으로 믿었다. 그의 낭만적 확신은 아더 홀럼의 주장에 힘을 받았는데, 그의 주장은 “순수” 시는 “어떤 극히 예민한 사람들에 대한 인상”에서 나온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에 대한 집중은 유아론으로 귀착된다는 것을 즉시 깨닫는다. 그는, 또한, 점차적으로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로서 자신의 글이 세상과 직접 연결되길 원한다. 영감이 어디서 오는지, 예술은 자기목적적인지, 하는 관심들은 1890년 후기 작품에 강화되며, 이어서 순수한 창의성은 “보편적 사상”에 접근함으로써 자기중심적인 것을 초월할 수 있다고 제안하기에 이른다. 그는 이 제안을 그의 『환상록』에서, 마스크 이론으로 다듬고, 유동적이고 투과성이 있는, 마법사-예술가가 만드는 자아라는 신낭만주의 개념을 만들어냈다. T. S. 엘리엇은 시를 “개성의 표현이 아니라 개성에서의 탈출”로 인식한 것으로 유명하다. 예이츠의 시적 영감의 후기 개념들은 예술가를 필연적으로 흙과 손가락을 인정함으로써 그를 괴롭혀왔던 주요 긴장감을 해소했다. 불안정한 다중적 자아라는 모더니스트의 개념을 초기에 수용함으로써, 예이츠는 역설적으로 보다 더 낭만적인 작가가 된다.
영문 초록
As a young poet, Yeats believed that individual imagination was the paramount source of inspiration. His Romantic convictions were reinforced by Arthur Hallam’s claim that “pure” poetry came from the “impression on the senses of certain very sensitive men.” But he quickly recognized that a focus on the self might lead to solipsism. As an Irish Nationalist, too, he increasingly wanted his writing to engage directly with the world. Anxieties about where inspiration comes from, and whether art is merely autotelic, intensified in his work of the later 1890s, and led him to propose that genuine creativity required transcending the egotistical by accessing “universal thought.” He refined this proposition in his theorizations of the Mask and in A Vision, generating a neo-Romantic conception of selfhood as mobile, porous and shaped by the artist-mage’s powers. T. S. Eliot famously conceived of poetry as “not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but an escape from personality.” Yeats’s later formulations of poetic inspiration resolved the key tensions that had troubled him by acknowledging the artist as necessarily both finger and clay. In this early embrace of a Modernist notion of unstable, multiple selfhood, Yeats paradoxically became more fully a Romantic.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워즈워스와 예이츠: 폭력의 이중성
- Reading a Romantic Yeats, in Comparison with Wordsworth and Keats
- “The man who suffers and the mind which creates”: Arthur Hallam, W. B. Yeats, T. S. Eliot, and “genuine inspiration”
- 예이츠, 니체 그리고 헤라클레이토스: 욕망과 창조정신을 중심으로
- Yeats’s The Cat and the Moon and the Minnaloushe Song: The Role of the Poem “The Cat and the Moon” in the Play
- 예이츠 시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탈식민성
- 예이츠가 영면의 장소로 「벌벤 산 아래」를 택한 이유
- Digging Up “Digging”, “Waterfall”: Reading Heaney’s Early Poetry in Death of a Naturalist
- Yeats and His Byzantium Poems
- 『스위니의 방랑』에서부터 『순례의 섬』까지 : 방랑과 순례를 통한 새로운 형식의 시 추구
- 예이츠의 반동적 정치학과 유토피아적 혁명주의
- 전통·기억·재생: 셰이머스 히이니의 초기 시
- 예이츠의 춤 이미지에 제시된 ‘존재의 통합’ (II)
- 예이츠의 「이니스프리의 호도」 읽기: 바로 그 통합적 구성의 미학
- Symbolism and Yeats Scholarship in China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