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일랜드 역사에서 ‘진짜’ 테러리스트는 누구인가? - 짐 쉐리단의 『아버지의 이름으로』

이용수 0

영문명
Who is the ‘Real’ Terrorist in Irish History? : Jim Sheridan’s In the Name of Father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김현아(Hyunah Kim)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53권, 411~43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짐 쉐리단의 영화 『아버지의 이름으로』를 중심으로 아일랜드와 영국 간의 갈등관계와 영국의 의도된 조작으로 인해 아일랜드인이 어떻게 테러리스트로 낙인찍혔는지에 대한 과정을 살펴본다. 쉐리단은 ‘길포드 4인’ 사건으로 알려진 실화사건을 형상화 함으로써 영국정부가 아일랜드인을 테러리스트로 동일시하거나, 심지어 테러 사건과 무관한 평범한 아일랜드인까지 테러리스트로 조작한 불합리한 상황을 전달한다. 달리 말해, 이 영화는 테러리스트로 누명을 쓴 ‘게리 콘론’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영국이 아일랜드를 억압한 역사뿐만 아니라 테러리즘의 양가적 의미 역시 상기시키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the conflicts between Ireland and England,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Irish were stigmatized as “terrorists” because of fabrications by British authorities, by focusing on Jim Sheridan’s 1993 film, In the Name of Father. By treating a true historical event, the trial of “The Guildford Four,” Sheridan shows how the Irish people are not related with the actual terror attack. This film spotlights the history of the mechanisms of how the British government oppressed the Irish people and at the same time discloses the ambivalent meanings of “terrorism” through Gerry Conlon who is falsely branded as a terrorist.

목차

I. 테러리즘을 둘러싼 정의와 왜곡
II. 아일랜드 식민사로 본 테러리즘의 양가성
III. 법과 제도를 통한 희생양 만들기
IV. ‘테러리스트’ 타이틀 벗기
V. 테러리즘 역사 다시쓰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아(Hyunah Kim). (2017).아일랜드 역사에서 ‘진짜’ 테러리스트는 누구인가? - 짐 쉐리단의 『아버지의 이름으로』. 한국 예이츠 저널, (), 411-431

MLA

김현아(Hyunah Kim). "아일랜드 역사에서 ‘진짜’ 테러리스트는 누구인가? - 짐 쉐리단의 『아버지의 이름으로』." 한국 예이츠 저널, (2017): 411-4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