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헨리 6세』 2, 3부: 여성의 성적 매력과 전투력, 그리고 사회 전복
이용수 0
- 영문명
- Henry VI, Part II and III: Women’s Sexual and Military Power and Social Subversion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최윤주(Yunju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72권, 179~1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헨리 6세』 2부와 3부가 가부장제의 이념을 바탕으로 남녀 간의 뚜렷한 역할 구분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고 전통적인 성 역할에 따르지 않는 마가렛과 같은 여성의 양상을 살핀다. 주로 마가렛의 용맹성, 전투력과 성적 매력과 방종이 주변 남성 인물의 가부장적인 가치에 대립되는 모습을 추적한다. 마가렛과 일리노어 등이 권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남성들, 특히 영국 남성을 대표하는 기사도적 영웅들과 대항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 여성 전사들이 대표하는 가치가 어떻게 남성들의 이상적 영웅주의나 부자간의 혈연 중심 관계에 대립하는지도 살핀다. 일부 남성 인물들이 감정에 치중하는 연인의 모습을 보이며 남성간의 유대를 약화시키는 결과에 이르는 아이러니한 상황 또한 살펴본다. 남성들이 이들 여성과 관련하여 남성성을 잃게 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헨리 6세』 2부와 3부에 담긴 가부장제의 양상과 여성 전사의 전복적 힘을 충실히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female warriors like Margaret and Eleanor who do not follow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revealed in Henry VI, Part II and III where gender roles are strictly divided according to patriarchy. It primarily traces Margaret’s courage, military and sexual power, and self-indulgence, as opposed to the patriarchal values of the male characters around her. In Margaret’s pursuit for power, she confronts men, especially chivalric heroes representing British men. I also examine how the values represented by the female warriors conflict with men’s ideal heroism and the lineag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I also look at the ironic situation of some male characters role change from a warrior to a lover, thereby weakening the bonds between men. By analyzing the process of men losing their masculinity in relation to these women, I will faithfully examine the aspects of patriarchy and the subversive power of female warriors in Henry VI Part II and III.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sing Shadows of the Past: A Comparative Study of Nostalgia and Memory in Agha Shahid Ali’s The Country Without a Post Office and Louise Glück’s Ararat
- Readings into Aesthetics of Silence: Intertextuality and The Hermit’s Way for the World
- 아일랜드 가톨릭의 정체성: 예이츠, 히니, 베리
- The Ghost as a Literary Device in the Plays of Yeats and Shakespeare
- 존 밀링턴 싱의 『서쪽 나라의 멋쟁이』에 나타난 바흐친의 카니발 양상과 의미
- 블레이크의 『유리젠의 서』에서 신화적 상상력과 창조
- An Interview with American Poet- Novelist Joseph Fasano
- 예술가의 교육과 상상력: 블레이크, 예이츠, 엘리엇
- 『헨리 6세』 2, 3부: 여성의 성적 매력과 전투력, 그리고 사회 전복
- The Formal Dynamics of Nostalgia: A Comparative Study of Agha Shahid Ali and Paul Muldoon
- Neoplatonism in W. B. Yeats’s “The Tower”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