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18] LED 램프 모듈의 탄화 패턴 해석 및 평가
이용수 0
- 영문명
- Carbonization Pattern Analysis and Estimation of LED Lamp Modul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최충석(Chung-Seog Choi) 김향곤(Hyang-K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233~24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12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로등 또는 보안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LED 램프에 외부화염이 인가되었을 때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화염의 인가는 한국산업규격(KS)에 규정된 난연성 시험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한 개의 module은 12개의 광원이 6개 직렬로 연결하여 2중(병렬)으로 배열되어 있다. 정상제품 LED의 순방향 저항은 약 1.74[MΩ]으로 나타났고, 역방향 저항의 평균값은 140[M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강한 화염에 의해 소손된 LED lamp의 저항 특성 분석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의 저항은 무한대를 나타냈고, 전구는 발광되지 않았다. 탄화된 LED lamp는 회백색이며, 미세한 박리 형태를 나타냈다. 약한 화염에 의해 소손된 LED lamp의 순방향의 저항은 약 1.8[MΩ]을 나타냈고, 역방향의 저항은 약 240[MΩ]으로 광의 발광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LED의 발광원리
3. 실헙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목차
- [A-2] 민속마을 초가지붕의 방화에 관한 연구
- [A-5] 소화성능시험 자동화를 위한 주행로봇에 관한 연구
- [A-7] 도시화재의 연소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 [A-9] 지방문화재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해석
- [A-14] 포터블 소화장비 개발에 관한 연구
- [A-18] 디지털자동제어 압력스위치 시스템의 효용성 연구 - 유비쿼터스 환경과 소화설비압력변동을 연동하는
- [B-3] 적층형 복합재 패널의 화재 연소성능에 대한 연구
- [B-4] 목조 건축 문화재 적심부 실물화재 실험을 통한 연소 특성 연구
- [B-5] 폴리우레탄의 화재 특성 연구
- [B-8] 화학공장에 대한 위험성평가기법인 방호계층분석(Layer Of Protection Analysis)의 심도분류에 관한 연구
- [B-12] 국내 산불에 의한 문화재 및 주거시설로의 연소확대 사례조사
- [B-13] 냉동창고 화재사례를 통해 본 화재예방 안전대책 연구
- [B-17] Asymmetric Slimflor Beam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C-2] 장애물에 따른 무선신호의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 [C-11] 도시화재 연소확대 위험성 평가를 위한 마이크로 평가 기법을 위한 조사 연구 - 일본건축연구소 도시화재시물레이션을 중심으로
- [C-7] 한․일 공동주택의 방재의식에 대한 비교 연구
- [C-12] 성능적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수직적 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 [C-14] 초고층 고령자 복지시설에 대한 성능적 내화설계에 대한 국외 사례 조사
- [C-16] Fuel bed에서의 지표화 확산에 관한 연구
- [C-18] 도시화재 시뮬레이션을 위한 국내 시장화재 사례 분석
- [D-1] 고층 아파트의 특별피난계단 방화문 관리실태 조사를 통한 피난안전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D-4] 위험물사고의 발생 실태 분석
- [D-6] 주택 성능등급 표시제도 시행에 따른 소방시설 항목 개선에 관한 연구
- [D-10]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의 하부인화점 예측
- [P-1] 소나무 생엽의 고도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P-3] 자연 건조된 나무의 연소특성
- [P-4] 자동차내장재의 독성분석에 관한 연구
- [P-5] 철도터널화재모사를 위한 공기-헬륨 혼합모델 연구
- [P-6] 단청 처리된 목조 건축물의 구조부재에 대한 발화 및 인화 특성 연구
- [P-9] R&D를 통한 소방산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P-10] 영동지역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하중을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
- [P-11] 종단부 유속조건에 따른 철도터널내 정상상태 유동해석
- [P-12] 가정용 내장벽지의 연소가스 독성평가
- [P-13] 물류 창고의 화재 특성 평가를 위한 실물화재실험
- [P-18] 초고층 건물의 피난시 안전공간 확보 필요성에 관한 연구
- [P-19] 고속 고정밀의 아크차단기 개발에 관한 연구
- [P-20] Simulex와 buildingExodus를 활용한 대형 백화점의 피난안전성 비교연구
- [P-21] 재난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조사
- [P-23]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불꽃감지기의 오동작 개선에 대한 연구
- [P-24] 재난현장활동시 소방공무원들의 석면노출 심각성 - 국내․외 재난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 [A-4] 시가지 화재의 연소확대 과정에 관한 실험
- [A-1] 고층건축물 계단실 급기가압제연시스템 실규모 성능 평가 시험
- [A-3] 고속철도차량의 열방출율 측정을 위한 실물화재실험
- [A-6] 건물간격에 따른 개구분출화염의 성상에 대한 실험
- [A-8]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xodus와 Simulex의 알고리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A-15] 고효율 미니소방차 개발에 관한 연구
- [A-10] 지하철 역사에서 개찰구 및 계단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 실측과 시뮬레이션의 비교
- [A-11] 건축물에 설치된 소화펌프의 성능시험장치에 대한 고찰
- [A-13] 연소면적 기반 발열량 평가법의 적용성 검토
- [A-12] 내화 피복된 비대칭 H형강 슬림플로어 재하가열조건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B-1]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MDF목재의 연소특성
- [A-17] 내화형 디지털 도어록 개발 연구
- [A-16]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초고층 건축물 전용 피난 시뮬레이터 개발방안
- [B-2] 실모형 화재시험에서 플라스틱폼 단열재 코어를 가진 샌드위치패널의 설치조건에 따른 화재특성 변화
- 가연물조사를 통한 화재성상예측 기법에 관한 조사 연구
- [B-6] 화재경계지구의 화재위험성평가를 위한 목조건물 밀집지역의 가연물 조사
- [B-10] 현장 사례를 통한 연쇄방화범의 특성 연구
- [B-9] 도시철도 대심도 지하역사에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피안전성 평가 연구
- [B-15] 영동지역 산불조심 기간 중 활엽수림에서 강우 후 지표연료의 연료습도 변화분석
- [B-18] LED 램프 모듈의 탄화 패턴 해석 및 평가
- [B-11] 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내화피복재 일치성 평가방법 연구
- [B-14] 경북지역의 산불 발생과 캐나다 산불 기상지수와의 관계
- [B-16] 유해가스 감지용 USN 센서노드에 관한 연구
- [C-1] 도심지 지하차도의 열전달 해석 및 내화설계에 관한 연구
- [C-4] 크루즈선박용 미분무 노즐의 소화성능평가
- [C-8] 국내외 터널내화기술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C-5] 산업용 질소발생기에 대한 청정소화설비로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C-10] 도시화재 연소확대 위험성 평가를 위한 매크로 평가 수법을 위한 조사연구 - 파코레이션 이론을 사용한 시가지 방재성능 기법 구축
- [C-6] 초고층 고령자 복지시설에서의 성능적 피난설계에 대한 국외사례조사
- [C-9] 국내외 주요 도시화재 사례에 대한 조사분석 - 지진 및 바람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C-15] 도심 지하공간의 재실자 밀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
- [C-2] 화생방테러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 [C-13] 국내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인정현황 분석
- [C-17] 장대터널의 성능적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국내·외 터널 화재사례분석
- [D-3] 국내 건축물 용도분류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D-2] 유원시설에 대한 국내외 안전관리체계 연구
- [D-5] 소방공무원의 공상 및 순직 현황 분석 - 서울특별시, 경기도를 중심으로
- [D-7] 재난 및 응급구조현장에서 겪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분석
- [D-8]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해소를 위한 웹기반 PTSD 교육의 개발
- [D-9] 화재조사관 응시자격에 대한 위헌성 여부에 관한 연구
- [D-11] 콘크리트블록벽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P-7] 관리인에 의한 목조 문화재의 화재안전전략 개발
- [P-2] 전기화재의 특성고찰 연구(Ⅱ) - 열원 및 현장조사 요령
- [P-8] 구조용 강재의 고온특성을 이용한 내화공학설계
- [P-14] 중저압 노즐을 이용한 사찰 및 목조 문화재용 미분부 패키지 소화설비 개발
- [P-22] 우리나라 중요목조문화재의 안전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 [P-15] n-Decane과 n-Octanol 혼합물의 자연발화온도 측정
- [P-16] 냉동창고에 적용 가능한 화재감지설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