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아고갈이론과 초기불교의 ‘나’에 대한 이해 비교 - 자기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ion of the View of Self in Ego-Depletion Theory and Early Buddhism: Based on the Problem of Self-Control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충현(Chung Hyeon LE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81호, 229~26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인은 감각적 쾌락과 보상을 제공하는 여러 자극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면서 도파민 중독 문제에 취약해지고 있다. 그만큼 충동과 욕망을 제어하는 자기 통제의 역량은 현대인의 정신건강에 핵심 지표가 된다. 나를 통제하는 일은 필연적으로 나에 대한 앎을 동반하기에 나, 즉 자아의 이해는 심리학의 자기 통제 문제에 핵심 요인이다. 본 연구는 자기 통제의 대표 이론인 자아고갈이론과 초기불교의 자아 이해를 자기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비교 검토한다. 두 사상은 내가 욕망에 휘둘리고 충동적으로 반응하기 쉬운 존재임을 인식하고 이러한 나를 잘 통제하지 못하면 고통의 결과를 얻게 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따라서 고통을 덜기 위한 자기 통제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부각되고 통제 주체로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나와 통제 대상으로서 잘 다루어져야 하는 수동적인 나의 측면도 모두 인정된다. 두 사상에서 나, 즉 자아는 고정된 개념이 아닌 습관과 반복의 원리에 따라 올바로 확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불교는 자아고갈이론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는 자아의 무상성에 각별히 주목한다. 불교는 단순히 통제 대상과 주체로서의 나를 반영함을 넘어서 그런 나 자신이 연기의 소산임을 보도록 만든다. 즉 자기 통제 주체로서의 나는 내게서 일어나는 부정적 흐름을 거스르며 결단하고 실행하는 단단한 존재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집착으로 인해 임시 형성된 가립물이자 연기의 산물이기도 하다. 따라서 통제와 비통제의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 나라는 존재는 내려놓음의 대상이 된다는 불교의 중도적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는 자기 통제의 역량을 확보하려는 현대의 노력에 의미 있는 조언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Modern individuals are becoming vulnerable to dopamine addiction as they are indiscriminately exposed to various stimuli that provide sensory pleasures and rewards. Consequently, self-control over impulses and desires has become a key indicator of modern mental health. Since controlling ‘self’ inevitably involves self-knowledge, understanding ‘self’ is a crucial factor in psychology’s self-control problem. This study comparatively compares and examines the self-view of the ego depletion theory, a leading theory of self-control, and early Buddhism, focusing on the issue of self-control. Both traditions recognize that ‘self’ is beings easily swayed by desires and prone to impulsive reactions, and agree that failure to properly control ‘self’ leads to suffering. Therefore, efforts at self-control become very important to reduce suffering, and both aspects of the self are acknowledged: the autonomous and active self as the controlling subject, and the passive self that needs to be properly managed as the object of control. In both thought, the self is not merely a one-time, fixed concept but existence that must be properly established through the principles of habit and repetition. however, Buddhism particularly emphasizes the impermanence of the self, which ego depletion theory does not significantly focus on. Buddhism goes beyond simply reflecting the self as both control subject and object, making us see that such a self is a produc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other words, the self as the subject of self-control is not only solid to make decisions and take action against inappropriate stimuli and impulses, but also a temporary construction and product of dependent origination formed by attachment. This Middle Way approach of Buddhism, which transcends the dichotomy of control and non-control by making the self an object of just letting go,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securing the capacity for self-control.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자아고갈이론의 자기 통제와 나
III. 불교의 자기 통제와 나
IV. 두 사상의 자기 통제와 나에 대한 이해 비교
V.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충현(Chung Hyeon LEE). (2024).자아고갈이론과 초기불교의 ‘나’에 대한 이해 비교 - 자기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 229-260

MLA

이충현(Chung Hyeon LEE). "자아고갈이론과 초기불교의 ‘나’에 대한 이해 비교 - 자기 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024): 229-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