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풍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ehwa River Water: Impacts of Weathering and Human Activitie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조덕희(Duk-Hee Jo) 김영규(Yeongkyoo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7권 6호, 811~8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하천수의 주요 화학적 조성 변화에 미치는 자연적 요인과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태화강은 주요 산업 도시인 울산으로 흘러 바다로 유하하며,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위적 오염과 암석의 풍화와 같은 자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하천수에 영향을 미친다. 상류 지역에서는 화성암과 퇴적암의 풍화작용이 주요 역할을 하여 Ca, Mg, HCO3 등의 이온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상류의 화성암에 풍화에 의하여 Si이 높은 비를 보였다. 그러나 중류와 하류로 내려가면서 인간 활동으로 인한 Cl, SO4 등의 이온 비가 급격히 증가하며, 이는 산업 배수, 생활 폐수, 농업 폐기물 등의 유입이 그 원인임을 지시하였다. 특히 하류 지역에서는 바닷물의 혼입으로 인해 Na와 Cl의 비율이 급증하여, 하천수가 해수의 영향을 받는 특성을 띠었다. 중금속 농도의 경우, 상류에서부터 하류로 내려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Zn과 As는 인근의 산업 활동 또는 폐광산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중금속들은 지점마다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태화강의 주요 이온과 중금속의 공간적 분포와 그 기원을 규명하였으며, 하천이 자연적 풍화 및 인간 활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ehwa River water to examine the natural factors and human activities influencing changes in its major chemical composition. The Taehwa River flows through the major industrial city of Ulsan and eventually into the sea, where it is impacted by both anthropogenic pollution and natural processes such as rock weathering. In the upstream region, the weathering of igneous and sedimentary rocks plays a dominant role, resulting in high ratios of ions such as Ca, Mg, and HCO3. Additionally, the weathering of igneous rocks in the upper reaches contributes to elevated Si ratio. However, as the river flows downstream, the ratios of Cl and SO4 ions increase greatly due to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discharge of industrial effluents, domestic wastewater, and agricultural runoff. In the downstream areas, the mixing of seawater causes a significant rise in Na and Cl ratios, indicating the influence of seawater on the river water. Regarding heavy metals, their concentrations generally increase from upstream to downstream. Zn and As, in particular, show relatively high levels due to nearby industrial activities and abandoned mines, while other heavy metals exhibit irregular variations depending on the loc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origins of major ions and heavy metals in the Taehwa River,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how rivers respond to natural weathering and human activities.
목차
1. 서 론
2. 연구 지역의 개요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토의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ull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Hypergradient Descent Method
-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 심부 시추공 지진자료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심층학습 위상발췌 기술의 활용
- 몽골의 희토류 자원: 지질학적 특성, 광화작용 및 부존 현황
- Petrogenesis and Geochemical Evolution of Rocks and Pegmatites in Kwarra Area, Northcentral Nigeria: Implications for Rare Metal Mineralization
- 북부 양산단층 영해지역 단층암에 기록된 미끌림감각 반전
- 탄성파 자료의 가스 지시자 분포 도출을 위한 기계 학습 활용
-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West Africa: Geology, Genesis and Distribution
- 폐광산지역 수은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열탈착 조건 검토
-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풍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
- 고고유적지에서 인산염광물의 생성: 경주 월성 남성벽 축조 이전 취락대지의 조성재료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일제강점기 조선통감부 건축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평가
- 빅데이터환경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의 석면 트렌드(1918년~2027년)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Full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Hypergradient Descent Method
-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 심부 시추공 지진자료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심층학습 위상발췌 기술의 활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