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West Africa: Geology, Genesis and Distribution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Hamidou GARBA SALEY Moussa KONATÉ Olugbenga Akindeji OKUNLOLA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7권 6호, 721~73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is review paper, we present the compilation of research work carried out on eight (8) manganese mineralizations, which represent the main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the West African Craton (WAC)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se Mn mineraliz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bibliographic avail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ir grade and extend. A compilation of data from outcrop description and mineralogical analyses allowed to highlight the emplacement of mineralizations, their origin and evolution within the WAC. These analyses made possible to make comparisons between the different manganese mineralizations. Depending on the periods of emplacement, at least two contexts emerge: (i) the manganese mineralizations which are hosted in the Mesozoic dolomites, like Imini and Bouarfa (Morocco) manganese mineralizations, (ii) and the Paleoproterozoic manganese mineralizations which are located in volcano-sedimentary rocks of greenstone belts: this is the case of the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Téra (Niger), Nsuta (Ghana), Mokta (Côte d'Ivoire), Tambão-Beliata (Burkina Faso) and Ansongo (Mali). The main manganese oxides noted at Imini are pyrolusite and the hollandite group (cryptomelane, hollandite and coronadite) while pyrolusite-manganite-hausmannite are preponderant at Bouarfa manganese mineralization. Mineralogically, the Mokta and the Téra mineralizations are close and show little or no rhodochrosite in the primary manganese minerals which are composed of manganese-bearing silicates (spessartine and braunite), whereas rhodochrosite is dominant in the other Paleoproterozoic mineralizations (Nsuta, Tambão-Beliata and Ansongo).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Regional Geological Context
3. Manganese Mineralizations Distribution of West African Craton
4. Geology and Genesis of the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West African Craton
5. Conclusion
Acknowledg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ull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Hypergradient Descent Method
-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 심부 시추공 지진자료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심층학습 위상발췌 기술의 활용
- 몽골의 희토류 자원: 지질학적 특성, 광화작용 및 부존 현황
- Petrogenesis and Geochemical Evolution of Rocks and Pegmatites in Kwarra Area, Northcentral Nigeria: Implications for Rare Metal Mineralization
- 북부 양산단층 영해지역 단층암에 기록된 미끌림감각 반전
- 탄성파 자료의 가스 지시자 분포 도출을 위한 기계 학습 활용
-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West Africa: Geology, Genesis and Distribution
- 폐광산지역 수은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열탈착 조건 검토
-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풍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
- 고고유적지에서 인산염광물의 생성: 경주 월성 남성벽 축조 이전 취락대지의 조성재료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일제강점기 조선통감부 건축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평가
- 빅데이터환경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의 석면 트렌드(1918년~2027년)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Full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Hypergradient Descent Method
-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 심부 시추공 지진자료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심층학습 위상발췌 기술의 활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