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Early Permian to Late Triassic Metamorphism in the Southeastern Gyeonggi Massif (Wonju-Yeongwol-Hoengseong area): Implication for the Permian-Triassic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병춘(Byung Choon Lee) 오창환(Chang Whan Oh)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7권 6호, 769~7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시-영월군-횡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 시대 치악산편마암의 변성 온도-압력 계산 및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바탕으로 경기육괴 남동부에서 발생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변성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지온-지압계와 가단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치악산편마암은 656-696oC/8.3-8.7 Kbar에 해당하는 중압형 전진 변성작용을 경험한 뒤 756-759oC/6.3-6.9 Kbar의 저압형(백림암상) 정점 변성작용을 경험했으며, 이후 567-612oC/2.2-2.8 Kbar에 해당하는 후퇴 변성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난다. 변성광물의 공생관계와 조직을 고려해 볼 때 연구지역에서 인지되는 변성작용은 시계방향의 경로를 따라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진 변성작용에서 정점 변성작용이 일어나는 동안 백운모의 탈수반응에 의해 부분용융 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치악산편마암에서는 고원생대(1923 Ma)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278 Ma, 229.9 Ma)에 해당하는 변성연령이 인지되며, 치악산편마암의 정점 변성작용시기와 후퇴 변성작용시기는 각각 278 Ma와 229.9 Ma에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에서 확인된 변성작용의 지온구배와 기존연구 결과를 고려해보면 페름기-트라이아스기에 경기육괴 남동부에서는 조산운동과 관련된 광역 변성작용이 발생했으며 이들 변성작용은 당시 한반도 남동부에 발달 되어있던 화산호 환경하에서 발생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onducted metamorphic P-T estimation and zircon U-Pb age dating for the Chiaksan gneiss in the Wonju-Yeongwol-Hoengseong area in the southeastern Gyeonggi Massif to examine Permian-Triassic metamorphic events occurred in the region. The results of metamorphic P-T estimation using conventional geothermobarometer and pseudosection analysis show that the Chiaksan gneiss underwent intermediate-P/T (656-696oC/8.3-8.7 Kbar) and low-P/T (756-759oC/6.3-6.9 Kbar) metamorphism during prograde and peak metamorphic stages, respectively. After the peak metamorphism, the Chiaksan gneiss experienced retrograde metamorphism (567-612oC/2.2-2.8 Kbar). By combining the results of metamorphic P-T estimation with mineral paragenesis and texture, it was confirmed that successive metamorphic events, from prograde to retrograde metamorphism, occurred along a clockwise P-T path. Additionally, it was identified that partial melting of Chiaksan gneiss occurred due to the dehydration reaction of muscovite during prograde to peak metamorphism. From zircon U-Pb age analysis, metamorphic ages corresponding to the Paleoproterozoic era (1923 Ma) and Permian-Triassic (278 Ma, 229.9 Ma) are recognized in the Chiaksan gneiss, and the peak and retrograde metamorphism of the Chiaksan gneiss were confirmed to have occurred at 278 Ma and 229 Ma,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metamorphic geothermal gradient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regional metamorphism related to the orogenic event occurred in the southeastern Gyeonggi Massif during the Permian-Triassic period. This metamorphic event occurred in an arc-related tectonic setting that was develop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목차
1. 서 론
2. 지질개요와 암석각론
3. 연구방법
4. 결 과
5. 토 의
6.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ull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Hypergradient Descent Method
-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 심부 시추공 지진자료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심층학습 위상발췌 기술의 활용
- 몽골의 희토류 자원: 지질학적 특성, 광화작용 및 부존 현황
- Petrogenesis and Geochemical Evolution of Rocks and Pegmatites in Kwarra Area, Northcentral Nigeria: Implications for Rare Metal Mineralization
- 북부 양산단층 영해지역 단층암에 기록된 미끌림감각 반전
- 탄성파 자료의 가스 지시자 분포 도출을 위한 기계 학습 활용
- Manganese Mineralizations of West Africa: Geology, Genesis and Distribution
- 폐광산지역 수은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열탈착 조건 검토
-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풍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
- 고고유적지에서 인산염광물의 생성: 경주 월성 남성벽 축조 이전 취락대지의 조성재료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일제강점기 조선통감부 건축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평가
- 빅데이터환경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의 석면 트렌드(1918년~2027년)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Full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Hypergradient Descent Method
- 경기육괴 남동부 (원주-영월-횡성 지역) 전기 페름기에서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변성작용: 한반도 중부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지구조진화사 대한 시사점
- 심부 시추공 지진자료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심층학습 위상발췌 기술의 활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