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 재정여건이 이전재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s on Intergovernmental Transfer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김진영(Jin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4권 제4호, 237~2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이 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 등 주요 이전재원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지방자치단체는 재정자주권 확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체재원 및 세외수입의 확보 노력 등이 그것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중앙정부의 이전재원에 대한 의존도 역시 높음은 부인 할 수 있다. 또한, 자체재원과 이전재원 간은 배분산식에 의거 자체재원의 확충이 이루어질수록 이전재원의 감소로 연계되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의 변화가 이전재원 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지방자치단체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정요인, 지출 특성, 인구요인, 경제요인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을 종속변수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 지출특성요인을 포함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세분화하여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영향요인 측면에서는 지방세와 GRDP는 교부세와 조정교부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고령화 비율과 자체사업비는 보조금 배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체재원의 확대가 교부세와 조정교부금의 감소를 초래하는 반감효과가 나타났으며, 자치단체의 재정 자립 노력을 저해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가 드러났다. 다음으로 지출특성요인으로는 교부세, 조정교부금은 자체사업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으며, 보조금은 보조사업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 이전재원의 특성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의 방향성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에 따른 맞춤형 이전재원 배분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지역별 경제적 특성과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한 차별화된 재정지원 방안을 통해 자치단체 간 재정 불균형을 보다 완화함과 동시에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s on the allocation of key intergovernmental transfers, including local allocation taxes, adjustment grants, and subsidies. Local government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secure fiscal autonomy, such as increasing own-source revenue and non-tax revenue. However, the high dependency on intergovernmental transfer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emains undeniable. Additionally, the allocation formula inherently links the expansion of own-source revenue to a reduction in intergovernmental transfe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xamine how changes in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s influence intergovernmental transfer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in terms of influencing factors, local taxes and GRDP significantly affect local allocation taxes and adjustment grants, while the aging population ratio and self-funded project expenditures are crucial determinants of subsidy allocation. Notably, the expansion of own-source revenue was found to trigger a reduction in local allocation taxes and adjustment grants, illustrating a counterproductive effect that may undermine local governments' fiscal autonomy efforts. Second, expenditure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local allocation taxes and adjustment grants are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self-funded project expenditures, while subsidies are more affected by expenditures on subsidized project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governmental transfers align with the financial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tailored intergovernmental transfer allocation policies based on the financial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s. Specifically, the study recommends differentiated fiscal support strategies that account for regional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nges to reduce fiscal disparities among local governments and enhance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착한가격업소 지원제도 성과와 발전 방안
- 공공가치실패 가능성 진단과 대안 - 미국과 한국의 GMO 정책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경기도 에너지 전환 정책의 확산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를 중심으로
- 원자력 관련 교육이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 사전-사후 통제집단 비교실험법의 적용
-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정책 변화과정 분석: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 지방정부 친화도시 사업의 정책조정 수준 진단: Peters의 정책조정유형론을 중심으로
- 기초자치단체의 현금성 사회보장급여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적공간패널회귀모형을 중심으로
- 경기도민의 지역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기도 북부와 남부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주노동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외국인 노동자 혹은 지역주민?
- 조직의 제도적, 행위적 요인이 조직협력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년세대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 비교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재정여건이 이전재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광역-기초자치단체 간 시·도비 보조금 운영 개선방안: 델파이조사를 통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