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튀르키예 문화산업 현황 연구: 핵심 문화산업과 디지털 기반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in Türkiye: Focusing on Core Cultural Industries and Digital-Based Cultural Industries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강지선(Jiseon Kang) 이난아(Nan-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5권 제3호, 205~2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research provides a tho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in Turkiye. Despite the significant rise of the Turkish TV series known as Dizi, the cultural industry in Türkiye has received limited academic attention in Korea. This study us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cross-verification of diverse sources to examine the industry’s current state and analyze developmental factors based on economic and sociocultural contexts. It focuses on two main areas: core cultural sectors, including museums, films, performing arts, and publishing, and emerging digital-based sectors, such as video content, popular music, gaming, and podcasting. Both traditional and digital-based industries have shown balanced growth. The findings identify three key growth drivers: the high level of digital engagement among the Turkish population, the predominance of a youthful demographic, and cultural diversity. However, gaps in cultural engagement, insufficient copyright awareness, and economic instability pose significant challenges to further growth.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rajectories of Türkiye’s cultural industries. It also provides a foundation for Korea-Türkiye cultural collaboration, enhancing academic understanding with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volving consumer behavior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튀르키예 문화산업 현황
Ⅲ. 튀르키예 문화산업의 현재 환경 분석
Ⅳ. 맺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중동학회논총 제45권 제3호 목차
- Decentralizing Power: The Impact of the Gaza Conflict on the Emergence of a Spontaneous Order in the Middle East
- 이슬람 금융 발전과 은행의 지속가능성: 가치와 영향 분석
-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ourism: Revisiting Carbon Emissions in Middle Eastern Countries
- 시리아 난민 통합을 위한 튀르키예의 언어교육 정책 연구: 현황과 개선 과제
- 디지털 공공외교 주체로서 인플루언서의 활용 가치와 발전 전략: 투르크권 국가와 한국 간 활동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이븐 타이미야의 기독교 비판과 시아파에 대한 타자화 전략
- 10. 7 하마스 테러 공격의 성격과 유대교 율법적 관점에서 본 이스라엘의 응전
- 튀르키예 문화산업 현황 연구: 핵심 문화산업과 디지털 기반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 통제작문을 활용한 문법 교육이 아랍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البيانُ والتبيُّن أم البيانُ والتبيين؟ دراسة نقدية حول عنوان كتاب الجاحظ بالاعتماد على المخطوطات والنقد الداخلي للكتاب
- 『채식주의자』와 『82년생 김지영』의 아랍어 번역 명시화 연구: 가부장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