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가적 대학의 구성요소와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Deriving Components and Analyzing Importance for Developing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dicator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글로벌벤처전략연구소
- 저자명
- 송은실(Eunsil song) 남정민(Jungmin Nam)
- 간행물 정보
- 『Entrepreneurship&ESG 연구』제4권 제4호, 73~1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하에서 대학의 역할변화와 기업가적 대학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강조되조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적 대학에 대한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 등을 검토한 결과 등을 기반으로 기업가적 대학의 구성요소와 중요도 분석을 위해 해당 분야 전문가 집단을 통해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고 도출된 지표에 대한 계층화분석법(AHP)를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비전 및 목표, 리더십, 기업가적 문화, 기업가적 조직, 기업가정신교육 등 총 11개의 구성요소와 31개 세부요인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기업가적 대학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서는 창업활동, 총장의 리더십, 혁신과 창의성 중심의 비전, 구성원의 기업가적 성향, 창업지원 조직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가적 대학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교수 및 교직원, 연구원, 학생 등 모든 구성원들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행동하며, 새로운 기회와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실현 할 수 있도록 총장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다양한 창업활동을 지원하여 대학 구성원들의 기업가적 역량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대학들이 성공적으로 기업가적 대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실질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hanging Role of Universities and the Need for Transition to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the face of rapidly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s, the evolving role of universities and the necessity of transitioning into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have become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framework for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by reviewing prior research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on the subject. A Delphi method was applied, involving a panel of experts in the field, to identify and refine the key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Subsequently,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erived indicator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1 components and 31 sub-factors were identified, including vision and goals, leadership, entrepreneurial culture, entrepreneurial organiz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ization of the components,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president, a vision centered on innovation and creativity,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members,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entrepreneurship were ranked highest.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providing practical directions for domestic universities to successfully transition into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Vol.1 No.2 Contents
- A Study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or Innovation Talent Development: The Case of Chinese Art College
- Ethnicity and Ethnography: A Study of Documentary Research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China's Ethnic Minor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